김진표 "尹, '이태원참사 유도‧조작 가능성' 언급"...대통령실 "멋대로 왜곡"

2024-06-27 18:15
최근 발간한 회고록에서 주장...대통령실 "의혹 전부 조사하라고 지시"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광진구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열린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22년 발생한 이태원 참사에 대해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된 사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통령실은 "멋대로 왜곡했다"고 반발했다.
 
대통령실은 27일 오후 입장문을 내고 "김진표 전 의장의 회고록과 관련한 문의가 많아 알려드린다"며 "국회의장을 지내신 분이 국가조찬기도회에서 대통령에게 독대를 요청해 나누었던 이야기를 멋대로 왜곡해서 세상에 알리는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라고 밝혔다.
 
김 전 의장이 최근 발간한 회고록 '대한민국은 무엇을 축적해왔는가'에 따르면 김 전 의장과 윤 대통령은 지난 2022년 12월 국가조찬기도회에서 독대했다.
 
당시 김 전 의장은 이태원 참사에 대한 책임을 묻는 차원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사임을 제안했다.
 
그러자 윤 대통령은 "이태원 참사에 관해 지금 강한 의심이 가는 게 있어 아무래도 결정을 못하겠다"며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될 사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데 그럴 경우 이 장관을 물러나게 하면 억울한 일"이라고 답했다.
 
김 전 의장은 윤 대통령의 이 같은 반응에 "극우 유튜버의 방송에서 나오고 있는 음모론적인 말이 대통령의 입에서 술술 나온다는 것을 믿기가 힘들었다"며 "윤 대통령의 의구심이 얼마나 진심이었을지는 알 수 없으나 상당히 위험한 반응이었다"고 회고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은 당시 참사 수습 및 예방을 위한 관계 기관 회의가 열릴 때마다 언론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혹을 전부 조사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며 "대통령은 특히, '차선 한 개만 개방해도 인도의 인파 압력이 떨어져서 사고를 막을 수 있었는데도 차선을 열지 않은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고 강조했다.
 
또한 "사고 당일 민주노총의 광화문 시위 때에도 차선을 열어 인파를 관리했었다"며 "대통령은 사고 당시 119 신고 내용까지 다 공개하도록 지시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이태원특별법을 과감하게 수용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