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첫 산업장관회의…"반도체·배터리 공급망 협력 최우선"

2024-06-28 04:55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부터)과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 사이토 겐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장관)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개최한 '제1차 한·미·일 산업장관회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한·미·일 3국이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기술 공급망 강화와 중국을 겨냥한 수출 통제 공조 의지를 재확인했다. 

한·미·일 산업장관은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회의를 열고 "반도체와 배터리 등 핵심 분야에서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위한 협력을 최우선 과제로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각국이 보유한 메커니즘을 활용해 핵심·신흥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경제 안보를 강화하는 게 목표다.  

수출 통제와 관련해 공동선언문에 특정 국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대중 견제용이라는 게 간접적으로 읽힌다. 선언문에는 "광범위한 비(非)시장 정책과 관행으로 인한 전략 품목의 공급망 취약성을 파악하기 위해 긴밀한 협력이 시급하다"며 "전략 품목의 특정 공급원에 대한 경제적 의존을 무기화하는 데 우려를 공유한다"는 내용이 삽입됐다.

또 "갈륨·게르마늄·흑연 등을 포함한 핵심 광물 공급망에 비합리적이고 중대한 차질을 야기할 수 있다"며 중국 측 금수 조치를 에둘러 지적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한·미·일 3국은 첨단기술과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최적의 협력 파트너이자 글로벌 공급망 위기를 함께 극복해 나갈 동반자"라며 "향후 3국 산업장관회의가 협력을 심화·발전시키고 리스크에 공동 대응하는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3국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경제 협력을 민간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해 한국경제인연합회(한경협)와 미국 상공회의소,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가 주도하는 '한·미·일 재계회의'도 발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