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엔비디아 입주' 과학단지서 정전 발생…전력난 직면하나

2024-06-19 17:10
엔비디아 지사 등 기업 3000곳 입주한 곳
노후 전선 원인...1시간여 만에 복구
"2028년 극심한 전력난을 겪을 수도"

대만 국기 [사진=AFP·연합뉴스]

엔비디아의 대만 지사 등 다국적 기업 3000여곳이 들어서 있는 대만 타이베이 과학단지에 정전이 발생했다. 이에 대만이 전력난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다시금 고개를 들고 있다. 

19일(이하 현지시간) 연합보, 중국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전날 오전 11시 18분께 타이베이 네이후 과학단지에서 정전이 발생했다. 정전 원인은 노후 전선인 것으로 파악됐다.

대만전력공사는 신고 접수 후 긴급 복구에 나섰고, 정전 발생 1시간여 후인 낮 12시 26분께 전력 공급이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네이후 과학단지에는 엔비디아의 대만 지사를 비롯해 폭스콘, 위스트론, 델타전자 등 다국적 기업 3000여곳이 입주해 있다.

이번 정전 사태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대만 전력난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앞서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4’ 참석차 대만을 방문한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도 지난 6일 향후 5년 안에 대만에 대규모 연구개발(R&D)·설계센터를 건립한다는 구상을 밝히면서 “대만의 전력 개발이 큰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대만의 전력 생산은 주로 석탄과 가스를 사용한 화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노후 전력망 역시 큰 문제로 꼽힌다. 특히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 등 대만 내 반도체 공급망을 형성하고 있는 기업들의 전력 수요가 커 정전 사태가 종종 발생한다.

실제 대만에서는 지난 7년 동안 대규모 정전이 3차례 있었고, 작년에도 여러 차례 소규모 정전이 발생했다.
 
AI 열풍에 따른 전력 소비 증가로 4년 뒤인 2028년에는 대만이 극심한 전력난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궈즈후이 대만 경제부장(장관)은 지난 12일 입법원(국회)에 출석해 "인공지능(AI)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2028년 이후 전력난이 우려된다"면서 "앞으로 대규모 AI 데이터 센터 5곳이 신설될 예정이다. 민간 소비와 산업 전력 이외에도 AI발 전력 수요가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