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점포 다시 세자릿수로 '털썩'…금융 소외계층은 어디로
2024-06-17 16:00
4월 1025개→한달새 996개로 감소…고기능 ATM도 줄어
"비용 절감 필요하다면 공동 점포 등 대안 함께 모색해야"
"비용 절감 필요하다면 공동 점포 등 대안 함께 모색해야"
시중은행 점포 감소 대책으로 나왔던 탄력점포 수가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고령층 등 금융취약계층의 접근성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은행들이 비대면 거래 확산을 이유로 점포를 줄이면서 탄력점포도 함께 감소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1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은행의 탄력점포 수는 올해 4월 말 1025개까지 늘었다가 한 달 새 900개대로 주저앉았다. 은행의 탄력점포 수는 △2019년 12월 말 861개 △2020년 12월 말 870개 △2023년 891개 △2024년 4월 1025개로 꾸준히 증가해 왔지만 지난달 말 996개로 감소했다.
탄력점포는 △관공서 점포 △외국인 근로자 특화점포 △고기능 무인 자동화기기 등 기능이 특화된 점포를 의미한다. 운영 시간도 일반 은행 운영 시간과 다르다.
특히 고기능 무인 자동화기기(STM)마저 줄었다는 점은 이례적이다. STM은 은행 창구 업무 중 80% 이상을 처리할 수 있어 점포 축소 공백을 메꿀 대체 수단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STM도 지난달 말 381개로 전달 대비 10개 줄어들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STM을 설치하더라도 고객 중 대부분인 노령층 고객들이 영업점 방문을 선호해서 실효성 문제가 있다"며 "운영 효율 일환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는 은행들이 비대면 거래 급증을 이유로 점포나 ATM을 폐쇄하고 있는 가운데 탄력점포마저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점포 수가 줄어들고 있다. 금융감독원 국내 은행 점포 운영 현황에 따르면 2018년 6771개였던 전국 은행 점포는 지난해 말 5754개로 줄었다. 5년 만에 1017개(약 15%) 점포가 사라진 것이다.
금융소외계층 수요를 제대로 파악해 지역별·연령별·소득별로 차별화된 탄력점포를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조혜진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고기능 무인 자동화기기마저 줄어든다는 것은 그동안 탄력점포 실효성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지역별·연령별·소득별로 수요를 제대로 파악해야 그에 걸맞은 실효성 있는 탄력점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