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교수들 "집단 휴진 중에도 중증‧희귀 진료 차질없이 진행"

2024-06-14 15:45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전체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지난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한 교수가 응급의료센터 앞을 지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대 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오는 17일부터 실시되는 집단 휴진 중에도 중증·희귀 질환 환자에 대한 진료는 차질없이 진행할 거란 입장을 밝혔다.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4일 서울대 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마지막 몸부림으로 전체 휴진을 결의했으나, 중증·희귀 질환 환자들에게는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란 점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며 "먼저 환자들께 정말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전체 휴진은 다른 병의원을 통한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정규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면서 "진료가 급박한 환자에게는 휴진 기간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이 자리에서 현재의 진료 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비대위는 "그간 최상급종합병원임에도 공정하지 못한 보상으로 인한 손실 보전을 위해 1‧2차 병원과 경쟁하며 많은 경증 환자를 진료했다"며 "이로 인해 대기 시간은 길어졌고, 환자가 의사를 만나는 시간은 3분이 채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번 휴진을 시작으로 서울대병원이 중증·희귀 질환 환자 진료에 집중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러한 변화로 병원 수익이 감소하면, 이는 우리나라 현재 수가체계 문제를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봤다. 비대위는 "이를 통해 대통령이 약속한 수가체계 개선에 필요한 재정 지원 규모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서울대병원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여는 등 교수들의 휴진 철회를 요구하고 있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에는 "과로로 순직하지 않으려면 사직할 수밖에 없는 교수들에게 지금의 일그러진 진료를 지속하라 강요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정부와 대통령실 등 정책 결정권자에겐 "교수들이 기계가 아닌 만큼 더는 어렵다"며 "약속한 대로 전공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 부당한 노동환경과 허술한 수련환경이 아닌 전문의 중심 교육수련병원으로 만들어달라"고 토로했다.
 
이어 "대통령이 약속한 재원을 기획재정부에서 반드시 받아내달라"며 "이 조치가 실행된 다음에야 비로소 정부는 전공의를 국가의 자산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수련을 위한 추가 근무는 시간 외 수당을 받는 등의 조치를 요청했다.
 
비대위는 "이번 사태는 의료 제공자와 소비자, 그리고 정책 결정권자가 서로 존중했다면 벌어지지 않았을 일"이라며 "긴 안목으로 함께 모여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 나갈 '상시적 의정협의체' 구성과 운영을 서둘러달라"고 촉구했다.
 
끝으로 비대위는 "각종 규제로 의료계를 옥죄는 대신, 의료 선진국들과 같이 의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존중해달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