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도 무인 자율주행차 달린다···국토부, 스타트업 개발 승용차 임시 운행허가

2024-06-12 11:00

[사진=현대모비스]

국토교통부는 무인 자율주행 기술개발 활성화를 위해 국내 자율주행 스타트업에서 개발한 무인 자율주행차의 일반 도로 운행을 허가한다고 12일 밝혔다.

임시 운행 허가를 받은 차량은 국내 최초의 승용 무인 자율주행차(최고속도 50km/h)이다. 국산 SUV에 자율주행시스템, 라이다 센서 등을 부착해 무인 자율주행차로 개발된 차량이다.

그간 임시운행허가를 받은 자율차는 시험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형태의 자율차 또는 극저속(최고속도 10km/h 이하), 특수목적형(청소차 등) 무인 자율차 등으로 이번과 차이가 있다.

해당 차량은 비상자동제동, 최고속도제한 등 안전 기능과 차량 내·외부 비상 정지 버튼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케이-시티(K-City)에서 도심 내 무인 자율주행을 위한 안전 요건 확인을 모두 마쳤다. 

국토부는 보다 철저한 안전관리를 위해 운행 가능 영역 내 단계적 검증 절차를 도입한다. 이번 임시 운행 허가 차량이 검증 절차를 한 번에 통과할 경우, 이르면 올해 4분기 초 무인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 

현재 해외 무인 자율주행차 운행은 미국, 중국, 일본 및 캐나다 등지에서 실증 중이다. 1단계 시험자율주행은 시험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로 실시하고, 2단계에서는 시험운전자가 조수석에 착석하는 대신 비상조치를 위한 원격관제·제어 또는 차량 외부 관리 인원 배치 등의 조건이 부여된다. 

무인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시험자율주행 중의 운행실적(사고 발생 여부, 제어권 전환빈도 등)과 무인 자율주행요건에 대한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또 국토부는 이번 무인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 이후 기업들의 무인 자율주행 실증 소요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무인 자율주행차 임시 운행 허가 세부 기준도 연내 고도화할 계획이다. 

박진호 국토부 자율주행정책과장은 "2016년부터 총 437대의 자율주행차가 임시 운행 허가를 취득해 기술·서비스를 실증했는데, 이번 무인 자율주행 실증이 또 하나의 변곡점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정부는 자유로운 무인 자율주행 실증환경 조성과 국민 안전 확보라는 두 가지의 과제를 조화로이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