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관리 비상'...유통가, 시간 단축·위생 강화 프로그램 강화

2024-06-06 17:45

주요 백화점과 대형마트가 식중독 관리를 위해 신선 식품 관리를 대폭 강화한다. 롯데백화점은 즉석섭취식품 판매 기한을 냉장 진열 상품은 7시간으로, 실온 진열 상품은 4시간 이내로 각각 단축했다. [사진=롯데백화점]

6월 들어 최고 기온이 30도를 넘나드는 등 이른 더위가 찾아오면서 유통업계가 식중독을 막기 위한 위생 관리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주요 백화점과 대형마트가 오는 8월 말 또는 9월까지 신선 식품 관리를 대폭 강화한다.
 
롯데백화점은 기존 ‘당일 판매’를 원칙으로 하던 즉석섭취식품 판매 기한을 냉장 진열 상품은 7시간, 실온 진열 상품은 4시간 이내로 각각 줄였다.
 
위생 상태 점검에는 적외선 온도계와 위생오염도(ATP) 측정기, 수질 측정기, 금속 탐지기 등의 전문 장비를 도입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식중독 가능성이 있는 신선식품과 즉석 조리 식품 판매를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조각 수박은 단순 랩 포장 대신 전용 용기에 담아 팔기로 했다.
 
현대백화점은 현대그린푸드 식품위생연구소와 매년 식품위생법보다 더 엄격한 수준의 하절기 위생관리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하절기 고위험 메뉴로 선정한 김밥, 초밥, 샌드위치, 샐러드 등 음식은 진열 판매 시간을 기존 4시간에서 3시간으로 단축했다.
 
이마트는 전체 점포에 '준법관리자'가 필수로 상시 근무하며 먹거리 위생 상태를 점검한다. 칼과 도마 등 작업 도구와 위생장갑을 수시로 교체하고 있다. 밥은 상온에서 세균이 증식할 수 있어 점포 입고 즉시 냉장 보관하며 수박, 멜론 등 조각 과일도 상시 냉장 진열 판매 중이다.
 
롯데마트도 전체 점포에 ‘위생관리사’를 배치해 롯데안전센터와 함께 식품군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 제빙기와 아이스크림 냉동고, 냉방설비 세척, 소독을 진행했다. 수산물은 진열한 뒤 7시간 판매 제한을 뒀으며, 초밥이나 김밥 등 즉석조리 식품도 판매 가능 시간을 제조 후 9시간에서 7시간으로 단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