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에도 與野 신경전…"대북 강경" vs "평화 안보"

2024-06-06 15:42
여야 지도부, 제69회 현충일 추념식 총출동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최재해 감사원장,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여야는 현충일인 6일 윤석열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놓고 신경전을 펼쳤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정부의 대북 강경 기조에 힘을 실어준 반면, 더불어민주당 등 범야권은 최근 정부가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를 단행한 것을 규탄했다.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민주당·조국혁신당·개혁신당 지도부는 이날 제69회 현충일 추념식 행사에 참석했다. 전날 22대 국회 첫 본회의에 여당 전원이 불참한 것과 달리, 이날 행사에서는 각 당 대표·원내대표 등 지도부 전원이 한 데 모였다.

여야는 일제히 메시지를 내고 순국선열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다. 김민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화는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조국을 위한 헌신과 목숨을 아끼지 않은 용기로 지켜냈다"며 "정부·여당은 나라를 위해 희생한 영웅들이 예우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할 것이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최민석 민주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오늘의 대한민국은 풍전등화 같은 국가적 고난 속에서도 온 몸을 던져 국가와 국민을 지켰던 영웅들이 있었기에 존재한다"며 "호국영령의 애국 애민 정신과 의지를 잇겠다"고 밝혔다.

원내 3당으로 자리매김한 조국혁신당은 "우리 선조와 선배들은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마다 자신의 미래를 담보로 대한민국을 지켜냈다"고 했고, 개혁신당은 "어떠한 외세의 침략과 도발에도 굴하지 않고 우리의 자유와 안녕을 굳건히 지켜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북한의 '오물 풍선' 테러 등 연이은 대남 도발을 이유로 최근 정부가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를 결정한 것을 두고 선 여야 간 입장 차가 선명하게 드러났다. 국민의힘은 "최근 북한의 도발 위협이 다양한 형태로 계속되고 있어 매우 안타깝다"며 "국가 안보에는 결코 타협이 있을 수 없다.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대한민국을 위협하는 그 어떤 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강대강 대치 속 오물폭탄으로 대한민국 영공이 유린당하는데도 정부의 굴종외교는 멈출 줄 모른다"며 "윤 대통령은 영웅들의 희생을 헛되이 만들지 말라"고 정부를 비판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싸워서 이기는 것은 하책"이라며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 평화야말로 어렵지만 가장 튼튼한 안보"라고 정부의 대북 정책 변화를 촉구했다.

조국혁신당은 정부의 대일 정책이 '친일(親日) 외교'라며 비판을 이어갔다. 조국 대표는 이날 발표한 메시지에서 "일본은 틈만 나면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하고, 메신저 '라인'도 집어삼키려 하는데 한국 정부는 제대로 항의도 안 한다"며 "친일, 종일, 숭일, 부일하는 모리배·매국노들이 호의호식하고 고위직에 오르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당정이 '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수용 불가 방침을 고수하는 것과 최근 군대 내 훈련병 사망 사고가 연속 발생한 데 대해서도 정부를 향한 지적이 나왔다.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는 이날 현충원 참배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 대통령을 향해 "군의 실수로 목숨을 잃은 우리 전우들에게는 어떻게 할 생각인가"라며 "채상병 부모님께서는 더 이상 우리 아들의 이름이 불려지지 않길 바란다는 말씀까지 하고 계신다. 너무 오랫동안 유족을 지키지 않아서 또 다른 제2의 피해를 드리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