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권 해외부동산투자 부실우려 2.4조

2024-06-05 07:48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 57.6조원…전분기比 1.2조원↑

[사진=아주경제DB]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중 2조4000억원 규모가 부실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57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9월 말 대비 1조2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6859조2000억원)의 0.8% 수준이다.

업권별로 보험이 31조3000억원(54.4%)으로 가장 잔액이 많았고, 은행 11조6000억원(20.2%), 증권 8조8000억원(15.2%), 상호금융 3조7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4조8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유럽 11조5000억원, 아시아 4조2000억원, 기타 및 복수지역 7조2000억원 등 순이었다.

만기별로는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가 10조6000억원(18.3%)이고, 2030년까지 돌아오는 규모가 44조8000억원(78.0%)이었다.

아울러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5조1000억원 중 2조4100억원(6.85%) 규모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기한이익상실은 선순위 채권자에 대한 이자·원금 미지급, 자산가치 하락에 따른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조건 미달 등의 사유로 인해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EOD 발생 규모는 분기별로 증가하고 있으나, 금감원은 작년 말 증가 폭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EOD 발생 규모는 작년 6월 말 기준 1조3300억원에서 같은 해 9월 말 2조3100억원으로 3개월 만에 1조원 가까이 늘어났으나, 같은 해 12월 말 기준에는 1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투자규모가 크지 않고,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해외 부동산 투자손실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그럼에도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추가로 하락할 위험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금융사의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고, 대체투자 프로세스를 점검해 내부통제 강화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