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당' 부활 조짐에...홍준표·김기현 "퇴보정치", "돈 먹는 하마"

2024-05-31 10:25
홍준표 "지구당 부활 논쟁, 여야 정략적 접근에 불과"
김기현 "지구당, 서민 입장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아"

홍준표 대구시장이 2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공군호텔에서 열린 2024 새미준 정기세미나에서 '선진대국 시대로 가자'란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과 홍준표 대구시장은 31일 최근 여야 일각에서 '지구당 부활' 논의가 나오는 데 대해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먼저 홍 시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퇴보하는 정치로 가려고 시도하는 건 큰 유감"이라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홍 시장은 "지구당 부활 논쟁은 반(反)개혁일 뿐만 아니라 여야의 정략적인 접근에서 나온 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당 내 지역구 조직에 해당하는 지구당 운영 제도는 '불법 정치 자금의 온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지난 2004년 폐지된 바 있다.

홍 시장은 "그 후부터 지금까지 국회의원은 지역구에서 사무실을 둬 관리하고 있다"며 "낙선자들은 당원협의회를 만들어 사무실은 설치하지 못하고 당원협의회 위원장이라는 직함으로 지역구를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구당 부활은) 결국 정치 부패의 제도적인 틀을 다시 마련하자는 것"이라며 "민주당은 '개딸'(민주당 강성 지지자) 정치를 강화하려는 목적이 있고, 우리 당은 전당대회 원외 (당협)위원장들의 표심을 노린 얄팍한 술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고단한 서민들 입장을 고려한다면 정치적 이익을 염두에 둔 지구당 부활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기를 들었다. 김 의원은 "당시 지구당은 각종 행사와 당원 관리 등으로 큰돈이 들어가는 '돈 먹는 하마'로 여겨졌고, 암암리에 '돈 정치 의혹'으로 국민의 질타를 받았다"며 "그저 전당대회를 앞두고 단순히 득표만을 위해 선심성으로 남발해서 풀 문제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한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 등 여야 대표 인사들은 최근 당원 권리 강화 차원에서 지구당 재설치를 지지하고 나섰다. 또한 22대 국회 개원 첫날인 지난 30일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과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각각 지구당 운영에 관한 내용을 담은 법안을 발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