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AI·데이터 업계 의견 듣는다…'데이터 중심 AI 가속화 밋업' 개최

2024-05-28 14:00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가 28일 열린 킥오프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윤선훈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초거대·생성 인공지능(AI) 시대에 요구되는 데이터 전략과 현장 중심의 데이터 정책 수립을 위해'데이터 중심 AI 가속화 밋업(Meet-up) 시리즈'를 기획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이날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데이터·AI 개발자, 스타트업 등과 함께 킥오프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에 기획한 데이터 밋업 시리즈는 생성 AI '챗GPT' 공개 이후 더욱 빠르게 발전 중인 AI 기술과 이에 따라 함께 변화하고 있는 데이터의 특징과 준비성(readiness) 등을 현업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신속하게 파악하려는 취지다.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를 촉진하고자 한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밋업 개최의 취지와 계획을 소개하고, 포티투마루의 김동환 대표가 '데이터와 AI 이야기: 딥러닝에서 생성형 AI까지'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김동환 대표는 AI 기술·서비스의 최근 동향, 기술의 발전에 따른 데이터와 AI 간의 관계 변화와 데이터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또 국내 기업들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정책 방향을 제언했다.

김동환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최소 내후년 정도까지는 멀티모달 쪽으로 상당히 고도화되고 학습에 대해서도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면서 "안타깝게도 아직 국내에서는 멀티모달 자체에 대한 학습 데이터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외부에 학습데이터 구축돼서 공개된 것도 많지 않고 각 기업들도 멀티모달 관련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기에 아직 손을 못 대고 있는 상황"이라며 "멀티모달 학습 데이터에 대한 구축에 대한 투자들도 이뤄졌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기조연설 이후 이어 2부 행사에서는 '밋업 시리즈 1: 생성형 AI 개발 썰 풉니다'라는 제목으로 토론이 진행됐다. IT 유튜버 조코딩이 사회를 맡았고 구름 빅밸류 대표, 김세엽 셀렉트스타 대표, 이현동 슈퍼브에이아이 부대표, 황현지 스모어톡 대표가 패널로 참여했다. 

이들은 초거대·생성 AI 시대에 필요한 데이터의 특징과 분야별 전문화된 특화 데이터셋, 멀티모달 AI 데이터 등 기존 대비 달라진 시장 수요를 살펴봤다. 또 현업에서 경험하고 있는 변화의 흐름, 데이터·AI 산업에 대한 전망을 함께 논의했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AI 기술의 발전만큼이나 필요한 데이터가 잘 준비돼 있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밋업 시리즈를 통해 우리나라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시의적절하게 파악하고 잘 준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