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보다 물가 더 올라" 중산층도 5집 중 1집 '적자 살림'

2024-05-26 10:00

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임금보다 물가가 더 오르면서 1분기 중산층의 적자 가구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로 1년 전 26.7%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을 뜻한다. 

소득 분위별로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한 18.2%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 14.8%와 비교하면 3.4%포인트 늘었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7.1%였다.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까이가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쓰는 '적자 살림'을 했다는 의미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포인트 증가한 9.4%를 기록했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포인트 증가한 28.9%였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포인트 줄면서 60.3%로 개선됐다.

중산층·고소득층 가구 '적자 살림'이 늘어난 원인은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에 부진한 소득 증가가 꼽힌다. 높은 물가와 금리가 계속되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이 증가했지만, 소득이 이를 상쇄할 만큼 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1분기 월평균 가계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000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000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000원(11.2%) 늘었다.

특히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000원(1.1%) 줄며 '역성장'했다.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부담이 늘어난 이유다. 

그 결과 1분기 3분위·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의 증가율은 3분위가 3.8%, 4분위가 0.7%로 부진했다.

삼성과 LG 등 대기업의 상여금이 감소하면서 고소득 가구인 5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4.0%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