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결석신고 온라인으로…미취학아동 소재 확인 교육청으로

2024-05-23 14:06
교육부, '학교 행정업무 경감 및 효율화 방안' 발표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4동 교육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학부모가 수기로 작성해 제출했던 초·중·고교생 결석신고 등 출결 관리가 앞으로 온라인으로 이뤄진다. 학교가 담당하던 미취학 아동에 대한 관리도 교육청으로 넘어간다.

교육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학교 행정업무 경감 및 효율화 방안(안)'을 발표했다. 

먼저 학교 내 단순‧반복적인 행정업무를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올해 9월부터 4세대 나이스(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온라인 출결관리시스템'을 만들고 그간 수기로 이뤄졌던 출석관리를 전산화하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학부모가 결석신고서를 작성하고 증빙자료 원본을 제출하면 담임교사와 학교장이 이를 수기로 승인·결재하는 방식이었다. 

앞으로는 학부모가 나이스를 통해 증빙자료를 올리면 담임교사와 학교장이 이를 전자결재하게 된다. 결석신고는 학생의 온라인 출결 관리에 연동된다.

모든 학교 관계자가 디지털 기술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튜터·기술전문가 등을 확대하고, 교사 맞춤형 에듀테크 개발도 지원한다. 학교 내 업무도 경력·보직 업무 분야 등을 고려한 매뉴얼을 함께학교 플랫폼에 일괄 게시한다.

학교회계 예산결산서는 교육청이 온라인을 통해 일괄 공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학교가 담당했던 교육환경 보호구역 내 교육 환경 현황 조사와 순회 점검·실적 보고 업무는 2학기부터 교육청 중심으로 조사와 점검이 이뤄진다. 학교는 필요시 자율적으로 점검한다.

학교에 제때 입학하지 않은 '미취학 아동' 소재를 확인하는 일은 학교가 아닌 교육청이 맡게 된다. 유명무실했던 취학관리 전담기구를 정상화하고 미취학 아동 소재·안전 확인 업무를 맡도록 한다.

교육부·교육청·교원단체 간 행정업무 경감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교육부와 학교 현장 간 긴밀한 협업을 위한 상설 협의체를 구축한다. 시도교육청은 자체적인 행정업무 경감 계획 등을 수립해 현장 부담을 완화해 나간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방안이 현장 소통을 통해 마련된 만큼 학교 내 실질적 업무 경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