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물가상승률 2.3~2.4% 확인되면 금리 인하"

2024-05-23 13:19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2.6% 유지
월평균 물가상승률 전망은 2.3→2.4% 상향
"금리 인하 시점 확인해야 인하 폭 결정 가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4.05.23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하반기 2.3~2.4%로 내려가는 추세가 확인되면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하반기 금리 인하 시점을 묻는 질문에는 물가 안정 확인이 선행돼야 하며 무조건적인 금리 인하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금통위원들은 이날 전원일치 의견으로 금리를 3.5%로 동결했다.

이 총재는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을 2.6%로 유지했지만 하반기 월평균 전망은 2.3%에서 2.4%로 변경했다"면서 "물가가 내려갈 때까지 기다렸다가 2.3%면 금리를 인하하고 2.4%면 인하하지 않겠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하반기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는 갖고 있지만 물가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라 인하 시점도 불확실한 상황"이라면서 "물가가 예상하는 수준으로 하락하는지 지켜본 뒤 금리 인하 시점을 고려할 것"이라고 했다. 

4월 소비자물가상승률(2.9%)이 석 달 만에 2%대로 내려오는 등 둔화 흐름을 보였지만 예상보다 양호한 성장세와 환율 변동성 확대로 물가 불확실성이 확대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향후 기준금리 인하 폭에 대해서는 "금리 인하 시점을 확인하고 그 다음 인하 폭을 생각해야 할 텐데 인하 시점의 불확실성이 커서 아직 거기까지 논의를 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물가가 안정된다면 내수와 수출 간의 조화를 어떻게 할지, 금리를 너무 낮췄을 경우 미래 금융안정을 어떻게 할지 등을 모두 고려해 폭을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