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물가 둔화 추세지만 상방 압력 커져…통화긴축 충분히 유지할 것"

2024-05-23 11:09
한은 11연속 '기준금리 동결'…연간 성장률 2.5%로 상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4.05.23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3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하면서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며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 금통위에서와 비슷한 수위의 표현으로 성장세 개선과 고환율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물가에 대한 우려가 담겼다는 분석이다.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 동결 결정 직후 통화정책방향 의결문(통방문)에서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 변동성 확대 등으로 상방 리스크가 커졌다"며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금통위는 올해 연간 성장률을 지난 2월 전망치(2.1%)보다 높은 2.5%로 상향 조정했다. 금통위는 "1분기 수출 호조와 소비·건설투자 부진 완화로 성장률이 예상을 크게 상회했다"며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는 2분기 중 조정됐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전망치 2.6%와 2.2%를 유지했다. 금통위는 "앞으로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 등으로 상방 압력이 증대되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물가 경로에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농산물 가격 추이, 성장세 개선의 파급 영향 등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짚었다.

아울러 금통위는 중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 안정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방침이다. 금통위는 "인플레이션 둔화 및 성장세 개선 흐름, 금융 안정 측면의 리스크, 가계부채 증가 추이, 주요국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 전개 양상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