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재개발·재건축 추진현황 6개월마다 공개한다 

2024-05-16 09:48
3월 기준 재개발 247곳·재건축 165곳·소규모정비 278곳 추진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시는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추진 현황을 6개월마다 상세 공개한다고 16일 밝혔다. 정비사업 추진 현황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지연 사업장은 문제 해결을 돕는 등 원활한 주택 공급을 위한 조치다.

시는 현재 반기별로 아파트 입주 물량을 공개하고 있는데, 서울시 아파트 공급물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정비사업의 추진 현황도 추가로 공개해 주택공급 예측을 용이하게 할 방침이다.

제공하는 정보는 도시정비법에 따른 재개발·재건축사업과 소규모정비법에 따른 가로주택·자율주택·소규모 재건축사업의 구역·자치구·단계별 추진 현황이다. 

올해 3월 기준 서울시 정비사업 추진구역은 재개발 247곳, 재건축 165곳, 소규모 정비 278곳으로 총 690구역이다. 자치구별로는 성북구 51구역, 서초구 47구역 등이 가장 많다. 소규모 정비사업은 성북구 29구역, 중랑구 27구역 등 순이다.

특히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신규 구역 지정 현황과 관리처분인가 이후 준공 이전 단계의 사업추진 현황을 공개한다. 시와 자치구간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상시 모니터링 체계에 돌입한다.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신규로 구역 지정된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총 30구역으로 이 중 쌍문3구역, 방화2구역 등 9곳은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지정됐다. 

현재 관리처분인가가 완료된 구역은 126구역이다. 시는 이중 공사 중인 67구역에 대해 선제적 갈등 조정을 통해 사업 지연 없이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집중 모니터링하고 있다.

관리처분인가 후 착공 이전 구역은 59개소다. 이중 이주 완료돼 착공이 임박한 구역은 26곳, 이주 중인 구역은 14곳, 이주 예정인 구역은 19곳이다. 시는 신속한 이주 진행 여부를 매달 자치구 담당자를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

김장수 서울시 주택공급기획관은 "정비사업 추진 현황 공개를 시작으로 정비사업 진행 현황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지연 사업장은 신속한 문제해결을 위해 코디네이터를 파견하는 등 원활한 주택공급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