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국내 스마트팜 보급률 1.48%···기업 유치 필요"

2024-03-25 13:32
OECD 중 식량안보 최하위권
韓스마트팜 99%가 영세中企

무역협회 [사진=연합뉴스]

기후변화와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미래 산업 중 하나인 '스마트팜'이 대응책으로 떠올랐으나 국내 농가의 스마트팜 도입률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선 대규모 자본 운용이 가능한 기업의 참여를 촉진해 스마트팜의 규모화와 첨단화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설 구축과 채산성 확보 기술 개발 등에서 초기 투입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25일 한국무역협회(KITA·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주요 시설원예 농가의 스마트팜 도입률은 1.48%로 집계됐다.

스마트팜은 비닐하우스·유리온실·축사 등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원격 또는 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유지·관리하는 농장이다.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식량안보 문제가 주목 받으면서 영농 효율을 극대화하는 스마트팜 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지표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2개국 중 29위로 최하위다. 이는 농촌 인구 고령화 및 감소, 경지 면적 감소 등이 중첩되면서 나타난 결과다. 농촌 인구도 1970년 1442만명에서 2022년 216만명으로 85% 급감했다.

국내 스마트팜 기업이 대부분 '소규모 신생회사' 위주인 점도 산업 발전이 더딘 이유다. 무협이 스마트팜 기업 90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50인 미만 영세 사업장이 94.4%에 달했다. 업력이 10년 미만(2015년~2020년 설립)인 신생 업체 비율도 77.8%였다.

자본과 기술력을 보유한 대기업이 스마트팜 산업에 진입하기 어려운 환경도 문제다. 스마트팜 기업들은 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로 '높은 초기비용'(42.9%)과 '대규모 자본 유입의 어려움'(22.9%)을 꼽았다.

반면 주요국들은 기업의 자유로운 참여와 영농 규모화를 통해 스마트팜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미국은 스마트팜 분야 스타트업 투자 규모 세계 1위 국가로, 농업의 기업화 및 규모화에 적극적이다. 

세계 3위 농식품 수출국인 네덜란드가 농가 중심의 규모화·첨단화·전문화로 온실 스마트팜 선도국 입지를 다진 것이 대표적이다. 일본도 기업의 스마트팜 사업 참여 촉진을 위해 농지법을 개정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펼치고 있다.

보고서는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규모 자본 운용이 가능한 기업의 참여 촉진이 필수적"이라며 "관련 법령의 제·개정을 추진하고 정부 주도의 적극적 정책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농민 펀드 활성화와 기술 고도화 등도 제안했다.

장유진 무협 수석연구원은 "스마트팜은 기후변화 및 식량안보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유망 산업인 만큼 적극적인 기업 투자와 농가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