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이의 사람들] '1세대 국민 영어 선생님' 민병철이 선플 운동에 나선 이유

2024-02-05 10:00

'민병철'하면 영어가 먼저 떠오를 만큼 민병철 중앙대학교 석좌교수는 이름 자체가 아이콘이다. 그런 그가 현재는 선플 운동 알리기에 힘쓰고 있다.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주고 있는 민 교수를 지난 달 29일 서울 서초구 소재 선플운동본부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민병철 중앙대 석좌교수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영어를 처음 접한 계기가 궁금하다
-어릴 적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있는 교회에 나갔다. 그 곳에는 호주 선교사가 있었는데 그의 큰 아들인 그레그와 대화를 많이 나눴다. 처음에는 영어가 안돼 대화에 필요한 말들을 그레그에게 녹음해달라고 하고 한 문장을 수백번씩 듣고 따라했다. 테이프가 늘어질 정도였다. 시간이 지나자 내가 연습한 문장들을 원어민과 거의 같은 발음으로 구사하게 됐다는 걸 알게 됐다. 이후로 영어에 자신감이 붙었고 학교에서도 영어 점수가 높아져 점점 영어에 취미를 갖게 됐다.

약 10년 간 진행한 생활 영어 방송이 큰 인기를 누렸다. 방송에 얽힌 에피소드가 궁금하다
-미국에 있을 때 국내 방송 관계자와 우연한 만남을 가졌다. 이를 계기로 영어 방송을 시작했다. 아침 방송 시간에는 학원 강의실에 빈 자리가 많았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 있다.

TV 영어 방송은 어떻게 시작했는지
-
1979년 시카고 시청 앞 광장에서 ‘한국 문화의 날’ 행사 사회를 봤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MBC 한 관계자는 내게 “미국 사람이 사회를 보는 줄 알았다”며 명함을 건넸다. 한국에 오면 꼭 연락을 달라고도 덧붙였다. 이듬해인 1980년 한국에 잠깐 들렀을 때 명함을 건넨 MBC 관계자에게 연락했다. 그러자 그는 내게 라디오 영어 회화 프로그램을 맡아 달라고 제안했다. 나는 그 자리에서 바로 수락했고 '15분에 내 인생을 건다'는 각오로 태평양을 왕복하며 방송 분량을 녹음했다. 1년 반 동안 라디오를 진행하면서 단 한 번도 펑크 낸 적이 없었다. 이후 1981년 10월부터는 '민병철 생활영어 TV 방송'을 시작하게 됐다. 돌이켜 보면 시카고에서 이뤄진 MBC 관계자와의 우연한 만남이 지금 영어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게 한 중요한 계기가 된 셈이다.

한국 사람들이 왜 영어를 못하는 건가
-한국 사람이 영어를 못하는 건 결코 아니다. 다만 학교에서 생활 영어를 배운 적 없을 뿐이다. 우리가 학교 다닐 때만 하더라도 초등학교 때 영어 과목이 없었고, 중·고등학교 6년 간 영어를 배우는데 그마저도 입시를 위한 문법·독해만 배울 뿐 외국인과 통하는 대화체 영어는 배우지 않는다. 다시 말해 영어 회화를 배운 적 없기 때문에 영어를 못한다는 뜻이다. 지금이라도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영어를 구사 할 수 있다. 
 
민병철 이사장이 전하는 메시지 [사진=김호이 기자]

영어교육에 매진하다 선플운동 알리기에 나선 계기가 궁금하다
-지난 2007년 한 연예인이 악플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우연하게 접했다. 당시 중앙대에서 가르치고 있던 학생들에게 한 가지 과제를 냈다. 악플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기분 좋은 '선플' 10개를 달고 인증하라는 과제였다.

선플 달기 과제를 받은 당시 학생들의 반응은 어땠나
-학생들은 황당해 했다. '별걸 다 시킨다'고 생각했을 거다. 당시 학생 570명(온·오프라인)이 내 수업을 들었는데 한 명당 선플 10개를 달고 링크를 첨부하라고 했다. 그랬더니 일주일 만에 선플 5700개가 달렸다. 이 과제를 통해 학생들은 '악플에 대한 해악성과 선플이 생명을 살릴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 

말과 글을 통해 인생이 바뀐 걸 목격한 경험이 있나
-중국에서 여자친구와 헤어진 한 누리꾼이 '죽고 싶다'는 글을 올린 적 있다. 이 글을 본 누리꾼들은 '죽으라'는 댓글을 달았는데 정말로 당사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 때 만약 ‘더 좋은 여자친구를 만날 수 있으니, 절대 죽어서는 안된다’. 는 응원 댓글이 달렸다면 그를 죽음으로 몰고 가지 않았을 거다. 악플을 보면 방관하면 안되는 이유다. 악플을 보고도 그냥 방관하는 것은 그 악플에 동조하는 것이 될 수 도 있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올려서 악플이 도배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민병철 중앙대 석좌교수가 전하는 메시지 [사진=김호이 기자]

오랜 기간 영어 교육과 선플 운동을 해오셨다. 앞으로 어떤 활동을 할 계획인가
-학생들과 메트버스·AI를 통해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생각 중이다. 예를 들어 세종대왕과 아인슈타인을 만나고 여기서 얻은 지식으로 일론 머스크와 빌게이츠를 만나 학생들이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프로젝트다. 또 K-Respect 캠페인도 진행 중이다. K-Respect 캠페인은 다문화 가족과 국내 거주 외국인을 존중하자는 것이 주요 골자다. 다수의 주한 외국 대사들도 동참하고 있다. 해외에는 750만 우리동포들이 살고 있고, 당장 우리도 외국에 나가면 소수민족이 된다. 여기에는 외국에서 한국인을 차별하지 말고 존중해야 한다는 의미가 들어있다. 궁극적으로 지구촌 모든 사람이 존중 받아야 된다는 캠페인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하는 일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주려는 이들에게 한 마디 전한다면
-선플을 달면 선플을 다는 사람, 선플을 받는 사람, 선플을 읽는 사람이 행복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선플이 중요하다.
 
민병철 중앙대 석좌교수와 김호이 기자 [사진=김호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