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법, 한국 기업만 죽인다"…업계 반발 확산

2024-01-31 15:29
스타트업 "벤처생태계 무너질 것" 지적
플랫폼·IT업은 토종업체 '역차별 우려'
美 재계도 한국 플랫폼법 공개 반대

스타트업얼라이언스와 디지털경제포럼이 31일 서울 강남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앤 스페이스(&Space)에서 '플랫폼 규제 법안과 디지털 경제의 미래'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스타트업얼라이언스 ]
대형 온라인 플랫폼의 반칙 행위를 막기 위한 '플랫폼공정경쟁촉진법(플랫폼법)' 공개를 앞두고 업계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사실상 국내 기업인 네이버·카카오에만 적용돼 토종 플랫폼 산업 경쟁력을 훼손할 것이라는 우려가 상당하다. 스타트업 역시 플랫폼법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법안 도입 후 거대 플랫폼으로부터 스타트업을 보호해 산업 생태계 발전에 이바지할 거라고 주장하는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전성민 한국벤처창업학회장은 31일 서울 강남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앤 스페이스에서 열린 관련 세미나에서 "스타트업들은 통상적으로 네이버·카카오에 인수되겠다는 목표를 가진 곳이 많다"며 "플랫폼 시장 특성상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업이나 인수합병(M&A)이 불가피한데 이 부분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플랫폼법은 사업자 매출과 시장점유율, 사용자 수 등 정량적 기준을 정하고 이를 충족한 기업을 대상으로 정성평가를 진행해 지배적 사업자를 사전 지정한다. 이들 기업에는 최혜 대우와 자사 우대, 끼워팔기, 멀티호밍(다른 플랫폼 이용) 제한 등 금지사항이 적용된다. 이를 어기면 매출의 최대 10%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받는다. 규제 대상에는 우리나라 네이버·카카오, 글로벌 빅테크인 구글·애플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유력하다. 전문가들은 플랫폼법이 스타트업에도 다양한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본다. 가장 치명적인 건 업체 간 협업 위축이다.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도 세미나에서 "우리나라에서 스타트업을 가장 적극적으로 인수하는 곳이 바로 '시장 독점'이라는 지적을 받는 네이버와 카카오"라며 "(플랫폼법이 적용되면) 성장 제한이 명확한 생태계에 누가 적극적으로 투자하겠냐"고 반문했다.
 
법의 부작용에 대한 고려도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공정위가 내세우는 금지 행위들은 실제 시장 이해관계자들 사이에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오히려 별도로 제재하지 않는 게 스타트업들에 더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플랫폼법이 적용되면 국내 기업만 역차별을 당할 거란 우려도 상당하다. 플랫폼·정보기술(IT)업계에서는 공정위가 규제 적용이 어려운 외국계 기업은 포함하지 않은 채 다루기 쉬운 국내 플랫폼 기업만 집중 규제하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플랫폼법 토대가 된 유럽연합(EU) 디지털시장법(DMA)이 자국 플랫폼 산업을 보호·육성하려는 것과 반대되는 행보다.

미국과 통상 문제로 번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 최대 경제단체인 미국상공회의소는 이미 공개적인 반대에 나섰다. 미 상의는 29일(현지시간) 찰스 프리먼 아시아 담당 부회장 명의 성명에서 "미 상의는 플랫폼 규제를 서둘러 통과시키려는 듯한 한국에 대해 우려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