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달라고 해서 해줬는데"…증권사, 은행들 ELS 판매중단 선언에 '난감'

2024-01-30 17:42
은행이 주 판매 채널, 영업 인프라 재편에 고심

[사진=연합뉴스]



홍콩 H지수 폭락으로 은행들이 주가연계증권(ELS) 판매 중단을 선언한 가운데, 관련 시장 침체와 함께 증권사의 ELS 상품 운용 비용이 상승할 것으로 금융투자업계는 보고 있다. 주요 판매 채널이었던 은행이 없어진 만큼 판매 인프라를 다시 재편해야 되기 때문이다.
 
30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연초 이후 ELS 발행규모는 1조6649억원으로 집계됐다. 홍콩 H지수가 고점이었던 2021년 같은 기간(8조8721억원)에 비하면 81% 급감한 수치다.

증권업계는 주요 판매 채널인 은행의 ELS 판매 중단 선언에 ELS 시장 침체기를 예상하고 있다. 전날 하나은행의 중단 선언에 이어 국민은행도 앞으로 해당 상품을 팔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ELS 상품 시장은 은행을 통해 양적 성장을 이뤄왔다. 코로나19 직전 ELS 발행 규모는 80조원에 육박하며 한 때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홍콩 H지수가 폭락하면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증권 업계에서는 ELS 시장 규모는 기존보다 10~20%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은 발행사인 증권사에 H지수와 같은 지수를 이용해 ELS 상품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를 하면 증권사들은 이에 맞춰 맞춤 제작에 들어간다. 여기서 증권사는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품을 만든 뒤 증권사 간 경쟁을 거쳐 은행의 선택을 받는다.
 
상품을 은행에 위탁한 증권사는 판매에 따른 수수료를 받는 대신 운용 자금을 채권 등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은행의 요구대로 맞춤형 ELS 상품을 만들어오던 증권사는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앞으로 주요 판매 채널인 은행이 ELS를 외면하면서 상품 개발 및 운영 비용이 더욱 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경기가 위축되면서 ELS 발행 규모는 30~40조원대로 급감했다"면서 "이미 축소가 되고 있는데, 발행이 전면 금지된다면 발행사(증권사)에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판매 채널 다변화, 상품 개선, 마케팅 전략 재구성 등 증권사들의 ELS 운영 비용은 더욱 오를 것으로 추산된다. 해당 관계자는 "시간 비용 등 당분간은 운영 시스템에 차질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현 상황에 대해 전했다. 
 
그는 "금융당국이 ELS 발행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만큼 은행도 먼저 나서서 판매 중단을 할 수밖에 없다"며 "이에 따른 피해는 운용 규모가 줄어드는 증권사가 짊어지게 된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증권업계는 금융당국의 ELS 판매 중단 가이드라인에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해당 관계자는 "중국 경기 회복으로 홍콩 H지수의 손실률이 줄어들 수 있지만, 은행 역시 금융당국의 압박 때문에 판매를 중지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증권사도 지켜본다기보다는 다른 대응을 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증권사의 신규 고객 유치도 현실적으로는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은행 고객의 경우 '원금 보장'을 믿고 ELS에 들어갔지만, 일반적으로 증권사 이용 고객은 수익률과 세금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PB는 "ELS의 경우 종합과세 대상으로 분류돼 고액 자산가들은 ELS 투자는 꺼려한다"면서 "약 50%에 가까운 세금 대비 수익률이 낮아 증권사 점포들도 권유를 안한다. 전반적인 판매 프로세스를 비롯해 여러 제도가 바뀌어야 투자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