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리 맴도는 선거구·선거제 개편...이재명 조만간 당무 복귀 나설듯

2024-01-16 00:00
선거구 조정 반발·선거제 갈피 못잡아
현역 의원 불만...지도부 결단 기다려

서울 미세먼지 농도가 '보통' 수준인 지난달 10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바라본 여의도 국회의사당 부근이 뿌옇게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조만간 당무에 복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15일 알려졌다. 인천 자택에서 치료중인 이 대표가 빠르면 이번 주, 늦어도 이달 말 전에 공식적인 업무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권칠승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최고위원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 복귀 시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확인해 보지는 않았고, 이번 주중에 복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사건 발생 직후 부산대병원을 거쳐 서울대병원에서 치료받은 이 대표는 지난 10일 퇴원해 자택에서 머물고 있다.

이처럼 이 대표 복귀 시점이 다소 빨라진 것은 피습 사건 이후 약 2주의 시간이 흐르며 굵직한 당무 처리가 뒤로 밀리고 있는 탓이다.

대표적인 게 선거제·선거구 개편안이다. 민주당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86일 남은 현 시점까지 선거구 획정안과 선거 제도 개편안에 대한 방향을 결정짓지 못했다. 상황이 이쯤 되자 당내 현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불만이 나오고 있다. 

선거구 획정안은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난달 5일 김진표 국회의장에게 제출했다. 선거구획정위는 80개 지역구에서 선거구 조정을 권고했는데, 여야 중에서도 민주당이 특히 반발하고 있다. 선거구 통합 또는 구역조정을 앞둔 곳 대부분이 국회 다수당인 민주당 현역 의원들의 지역구라 '국민의힘에 유리한 획정안'이라는 주장이다. 

획정안은 국회의원 의석을 서울과 전북에서 각 1석씩 줄이고, 인천·경기에서 각 1석 늘렸다. 전북의 국회의원 의석 수는 총 10석이다. 민주당이 9석, 국민의힘이 1석씩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전북에서 1석이 줄면 야당에 불리하다는 게 민주당 주장이다. 

민주당은 선거제 개편을 두고도 진통을 앓고 있다. 이탄희 의원이 '불출마'라는 극단적인 카드까지 꺼내들며 "현행 연동형 비례대표제도를 지켜달라"고 호소했음에도 갈피를 못 잡고 있다. 민주당 원내 관계자는 "여러 의원들의 의견을 취합 중"이라고 전했다. 

현역 의원들 사이에서도 답답하다는 토로가 나온다. 수도권을 지역구로 둔 민주당 한 초선 의원은 "협의체 위원들끼리 논의해서 될 사안은 아닌 거 같다"며 "결국은 최소한 원내대표 협상 정도로 격상해서 책임있는 단위에서 해야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선거구 획정, 선거제 개편 모두 1월 안에 결론이 나야 한다. 그래서 1월 본회의도 잡힌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민주당 한 재선 의원은 "의원들의 이해관계가 엮여 워낙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지도부에서도 결단을 기다리는 중인 것으로 안다"며 "그런데 이 대표 역시 이 부분에 부담을 느끼고 있고, 논의를 이어가던 중 피습을 당해 유의미한 진전이 없다고 들었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한 3선 의원은 '이 대표'를 원인으로 꼽았다. 그는 "부재 중인 이 대표가 결론을 못 내리는 걸로 알고 있다"며 "반발하는 의원들 연동형으로 해야 한다는 의원들이 있고, 본인은 이제 사법 리스크도 있어서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