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갈아타기 심화...KT·LG유플러스 5G 가입자 '1000만 돌파' 할까

2024-01-15 15:28
KT 25만명·LGU+ 300만명 추가 확보 필요

SK텔레콤·KT·LG유플러스 사옥 전경. [사진=각 사]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3300만명 돌파를 앞둔 국내 5세대 이동통신(5G) 가입자 증가 속도가 올해를 기점으로 둔화할 전망이다. 이통3사 중 SK텔레콤(SKT)이 유일하게 1000만명 가입자 확보에 성공한 가운데, KT와 LG유플러스도 1000만명 가입 돌파에 성공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현재 5G 가입자는 3251만2440명이다. 이는 해당 요금제를 취급하는 사업자인 SKT·KT·LG유플러스·알뜰폰(MVNO)을 모두 합친 수치다.

SKT 가입자는 1552만3482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KT가 975만1143명으로 2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LG유플러스 697만9825명, MVNO 25만7990명이다. 

KT가 1000만명 돌파를 위해 필요한 추가 가입자는 24만8857명이다. 지난해 하반기 KT 5G 가입자가 매월 10만명 안팎을 오간 점을 적용하면 LG유플러스보다는 유리하다. LG유플러스는 이보다 상황이 심각하다. 같은 기간 LG유플러스의 월별 가입자는 10월 '아이폰 효과'를 제외하면 6만명에서 7만명을 오갔다. 1000만명 돌파를 위해 약 300만명 추가 확보가 필요해 올 안에 돌파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지난해 하반기 이통사 전체를 놓고 보면, 같은 해 4월 가입자 3000만명 돌파 직전까지 5G 가입자는 매월 40만~60만명 안팎이다. 하지만 6월부터 11월까지는 매월 20만명에서 30만명을 겨우 넘어서는 모습이 이어졌다. 10월엔 하반기 들어 처음으로 40만명을 넘어섰는데, 애플의 아이폰 14가 국내 시장에 출시된 영향이라는 평가다.

올해 5G 성장세에 대한 전망은 밝지만은 않다. 5G 요금제 출시 후 가장 심한 정체기에 들어선다는 것이 통신업계 중론이다. 스마트폰 사용률과 5G 이용률이 포화 상태인 게 가장 큰 요인이다. 실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발간한 정기간행물 '2023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주요 결과'를 보면, 국민의 97%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이 중 절반 이상인 50.4%가 5G 가입자였다.

5G 이용 비율로만 보면 아직 가입 여력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정부 정책이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통사는 그간 5G 스마트폰에서는 LTE에 가입하지 못하도록 마케팅 전략을 짜면서 가입자는 자의 반 타의 반으로 5G를 이용해야 했다. 최신 스마트폰으로 변경하려는 사람은 자연스럽게 5G 요금제를 이용해야 했다. 실제 5G 가입자 중 대다수는 기존 LTE 요금제를 이용하던 가입자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5G 스마트폰으로도 LTE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을 변경하면서 이통사의 이같은 마케팅은 불가능해졌다. 가입자는 스마트폰 종류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5G 또는 LTE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어서다. LTE 요금제로 갈아탈 요인이 더 커졌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통신업계는 LTE 요금제 이용률이 올해 더 커질 것으로 예견했다. 5G 요금제는 비싸다는 인식이 퍼진 상황에서, LTE가 5G보다 속도가 크게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분위기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시각이다. 업계는 속도 차이가 존재해도 한번 굳어진 인식이 바뀌기까지 체감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다. 정부 정책이 적용되기도 전인 지난해 11월만 해도 LTE 가입자는 4902만9248명으로 전월보다 4만565명 늘었다. LTE 가입자는 5G와 달리 지난해 3월 바닥을 찍은 후 매월 꾸준히 증가 중이다.

KT와 LG유플러스는 5G 가입자 확보를 위해 청년층 공략에 힘을 싣고 있다. KT는 5G 데이터를 2배로 제공하고 스마트기기 요금을 할인해 주는 20대 전용 브랜드 'Y덤'을 운영하고 있다. LG유플러스도 일반 요금제와 같은 가격에 데이터 2∼60기가바이트(GB)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유쓰 청년요금제'를 통해 청년층을 공략 중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5G 가입 둔화는 인구 구조 영향도 있지만, 정책에 따른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며 "예상한 대로 수익 악화로 이어질지, 생각과 달리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질지 아직은 어떤 결과를 유추하기 어렵다"며 지켜볼 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