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미래전망 대학총장포럼] 이광형 "AI '독자 시스템' 구축 서둘러야...전략산업화 필요"

2023-12-19 15:12

이광형 KAIST 총장이 '21세기 휴머니즘 2.0과 AI 천하삼분지계'라는 주제로 대담을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은 독자적인 인공지능(AI)시스템 보유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 총장은 이를 위해 3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인력을 포함한 기술력과 GPU와 메모리 시스템, 전기료 등의 자본력, 시장이 모두 필요하다는 것이 이 총장의 생각이다.

이 총장은 19일 서울 서초구 더 리버사이드 호텔에서 ‘21세기 휴머니즘 2.0과 AI 천하삼분지계’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독자적인 AI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AI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총장은 강연에서 “21세기는 AI가 우리의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사회다. 소위 ‘디지털 서포트 시스템’ 사회가 될 것”이라며 “AI가 60년 내에 자아를 가지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AI가 일자리는 물론 국가 시스템과 언어, 문화 등 인간의 모든 것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AI는 결국 국가관이나 역사적인 문제 등 우리 정신과 가치관과도 밀접하다”고 설명했다.

AI 경쟁에서 우위 여부가 가치관 상실과도 직결될 수 있다는 것이 이 총장의 문제의식이다. 그는 “앞으로 10~20년 내에 AI를 잘 활용하는 나라와 그렇지 못한 나라, 개발을 잘하는 나라와 못하는 나라로 나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향후 AI 기술의 경쟁력이 AI 주권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AI 시대와 관련해 4가지 시나리오가 있다고 봤다. 한국의 경우 활용도는 높지만 개발 상태는 낮은 AI 중진국인데, AI 활용과 개발 모두 정도가 높은 AI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우 개발에서는 뒤처지지만 관련 서비스는 잘 활용하는 나라”라며 “AI의 개발도 잘하고 서비스 등 활용도 잘하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장은 이어 “현 상태로 간다면 결국 개발을 못하고 활용을 하는 시나리오로 갈 수 있다. 우리의 정체성, 국가, 영토, 문화를 다 지킬 수 있는 시나리오로 가야 한다”고 진단했다. AI 선진국의 경우 개발 산업과 문화, 국방과 서비스업 발달을 통한 일자리 확충이라는 효과가 따라오게 된다는 것이 이 총장의 전망이다. 
 
이 총장은 독자적인 AI 시스템을 보유한 미국, 중국과 우리나라가 치열한 패권 다툼을 할 것으로 예측했다. 미주와 유럽을 시장으로 보유한 미국과 중화권을 시장으로 둔 중국뿐이라는 것이 이 총장의 설명이다. 그는 “한국의 경우 시장 규모가 작다고 볼 수 있다”며 “다만 아직까지 동남아시아 권력과 아랍권은 독자 AI시스템을 갖춘 나라들이 진출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AI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만큼, 한국 역시 글로벌 시장과 연대해 AI 시스템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전망했다. 이 총장은 “미국과 유럽이 시장을 형성하고 중화권을 중심으로 중국도 시장을 이루고 있다”며 “부족한 시장을 발굴해 세계 시장 개척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AI 산업을 국가 산업으로 재편하면서 동시에 동남아시아와 아랍권 등과 연대해 미국·유럽과 중화권에 구별되는 새로운 독자 AI시스템 구축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이 총장의 구상이다.
 
그는 “동남아시아와 아랍권과 연대한다면 독자적인 AI시스템 구축 가능성이 충분하다. 해당 지역의 경우 미국과 중국에 비해 한국과의 연대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것을 포기하면 결국 선두주자에 시장을 뺏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가 국내 반도체 산업을 밀어주듯이 AI를 국가적인 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최대한 지원해야 한다”며 “국가 연대를 위해서도 외교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