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오늘 시진핑 만난다…尹과는 "세계 협조로 이끌 것"

2023-11-17 07:06
한중일 정상회담으로 이어질까
전략적 호혜관계 재확인 전망
오염수 방류·수산물 수입 금지 등 논의 예상

11월 1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왼쪽)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사진 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16일(이하 현지시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난다고 발표했다. 한국 시간으로 17일 오전 중 만날 예정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양국 정상이 전략적 호혜관계를 재확인할 전망”이라며 “중·일 정상회담은 2022년 11월 이후 1년 만”이라고 전했다. 전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 주석은 미·중 정상회담을 통해 군 대 군 대화 재개에 합의했다.
 
전략적 호혜관계란 아베 신조 전 총리가 2006년 중국을 방문해 당시 후진타오 주석과 합의한 것으로 후 주석이 2008년 국빈으로 일본을 방문했을 때 중·일 공동성명에 이를 담았다. 이 성명은 중·일 양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세계 평화·안정·발전에 영향력을 가졌으며, 책임이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게 골자다. 양국이 오랫동안 평화와 우호를 위해 협력하는 것이 유일한 선택이라는 내용도 담겼다.
 
양국 정상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눌 전망이다. 기시다 총리는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 철회를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에 체포된 일본인의 조기 석방도 주장할 방침이다.
 
기후변화 대책을 포함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지역 정세 등도 의제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주요 광물 수출을 관리하는 대화 틀을 신설하고, 기업 관계자의 안전 확보 등 비즈니스 환경에 관한 협의체도 창설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아울러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에 관해서도 협의한다.
 
한편, 기시다 총리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과도 정상회담을 했다. 올해 들어 7번째 한·일 정상회담이다. 기시다 총리는 “그간 윤 대통령과 함께 정치, 안전보장,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해 왔다"며 "이 걸음을 더 전진시키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계가 역사적 전환점을 맞은 가운데 전 세계를 분열과 갈등이 아닌 협조로 이끌겠다는 강한 뜻이 있다. 이런 점에서도 일본과 한국은 파트너로서 협력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날 열린 한·일 회담은 17일 스탠퍼드대에서 열리는 좌담회와는 별도다. 양국 정상은 이 좌담회에서 '한일 및 한미일 첨단기술 협력'을 주제로 의견을 나누고, '수소·암모니아 글로벌 밸류체인' 구상을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