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사우디 국빈방문, 정부 간 협력 채널 공고화…민간협력 기반 마련"
2023-10-27 17:03
유광호 KIEP 전문연구원 "인프라 건설·디지털 기술 연계 진출 가능할 듯"
윤석열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 국빈 방문을 마무리한 가운데 정부 간 협력 채널이 공고화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정부 주도의 협력 사업이 많은 사우디아라비아 특성상 안정적인 정부 채널을 구축한 만큼 민간협력 기반을 마련됐다는 것이다.
유광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아프리카중동팀 전문연구원은 27일 발간한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다각화 정책과 한국의 기회'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평가했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경제구조 다각화를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의 경제협력 수요 확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전 2030의 목표 시점으로 내세운 2030년이 다가오는 만큼 석유화학, 친환경에너지, 물류, 전기차 등을 중심으로 전략산업 육성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특히 네옴시티 등 대규모의 개발 프로젝트 추진에 박차를 가하는 동시에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도 나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 일본, 인도 등 아시아 주요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협력도 이어지고 있다. 3개국 모두 경협 확대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만큼 우리 기업과의 진출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사우디아라비아가 경제적으로 필요로 하는 지점과 우리가 강점으로 내세울 수 있는 분야를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윤 대통령의 이번 국빈 방문과 다수의 정상·장관급 회담, 비전 2030 위원회 등 정부 협력 채널이 공고화된 만큼 이를 양자 협력 확대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통령실도 이번 중동 순방을 계기로 총 202억 달러(약 27조원) 규모의 양해각서(MOU)와 계약 63건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기존 에너지·건설 분야에 집중됐던 중동과의 협력을 청정에너지·디지털·방산·문화콘텐츠 등으로 고도화‧다변화하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한 것이 주요 성과다.
유 전문연구원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에도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의 석유 수입 규모·비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만큼 관련 협상에서 이를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재정 상황·현지화 요구에 발맞추면 협력 확대를 촉진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비교 우위를 갖고 있는 인프라 건설과 디지털 기술을 연계한 패키지 형태의 진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광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아프리카중동팀 전문연구원은 27일 발간한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다각화 정책과 한국의 기회'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평가했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경제구조 다각화를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의 경제협력 수요 확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전 2030의 목표 시점으로 내세운 2030년이 다가오는 만큼 석유화학, 친환경에너지, 물류, 전기차 등을 중심으로 전략산업 육성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특히 네옴시티 등 대규모의 개발 프로젝트 추진에 박차를 가하는 동시에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도 나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 일본, 인도 등 아시아 주요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협력도 이어지고 있다. 3개국 모두 경협 확대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만큼 우리 기업과의 진출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사우디아라비아가 경제적으로 필요로 하는 지점과 우리가 강점으로 내세울 수 있는 분야를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윤 대통령의 이번 국빈 방문과 다수의 정상·장관급 회담, 비전 2030 위원회 등 정부 협력 채널이 공고화된 만큼 이를 양자 협력 확대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통령실도 이번 중동 순방을 계기로 총 202억 달러(약 27조원) 규모의 양해각서(MOU)와 계약 63건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기존 에너지·건설 분야에 집중됐던 중동과의 협력을 청정에너지·디지털·방산·문화콘텐츠 등으로 고도화‧다변화하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한 것이 주요 성과다.
유 전문연구원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에도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의 석유 수입 규모·비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만큼 관련 협상에서 이를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재정 상황·현지화 요구에 발맞추면 협력 확대를 촉진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비교 우위를 갖고 있는 인프라 건설과 디지털 기술을 연계한 패키지 형태의 진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