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금감원, 'K-택소노미' 적용 시스템 도입···녹색금융 대출 본격화

2023-09-05 16:03
금감원, 지난달 31일 10개 금융회사에 KTSS 배포
"어려운 택소노미, 풀어서 설명" 쉬운 가이드라인
민관 협력해 만든 KTSS 이례적 사례···ADB도 관심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하반기 녹색금융 대출이 본격화한다. 그동안 은행권에서는 지속가능금융 확대를 위해 녹색대출을 취급하고 싶었지만 기업 활동이 친환경적인지 구분하기가 까다로워 쉽게 접근하지 못했다. 하지만 앞으로 은행들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 적용 시스템(KTSS)을 통해 기업의 친환경 경영활동을 더욱 쉽게 선별하고 녹색대출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KTSS 개발을 마치고 지난달 말 국내 8대 금융지주(KB·신한·우리·하나·NH농협·BNK·DGB·JB)와 키움증권, 이지스자산운용에 KTSS를 공유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말 10개 금융회사와 함께 KTSS 개발 업무협약을 맺은 뒤 공동으로 시스템 개발을 추진했다.

K-택소노미는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활동을 산업별로 정의하고 판별해 투자 자금이 친환경 산업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하지만 기존 택소노미는 전문 용어와 암호화 같은 분류 체계로 인해 은행 실무자들은 쉽게 녹색대출을 활용할 수 없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2021년 K-택소노미가 등장한 이후로도 녹색대출은 활성화하지 못했다.

KTSS는 이런 택소노미를 통해 금융회사가 대출·투자 대상 기업의 경영 활동이 친환경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등장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K-택소노미 가이드라인이 수백 개에 이르는데 은행 실무 직원들이 쉽게 이해하기 어려웠다"면서 "금감원은 초등학생이 알 수 있을 정도로 쉽게 분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했다. 앞으로는 은행 창구에 있는 누구라도 KTSS를 통해 해당 기업에서 가져온 서류를 보고 지속 가능한 사업인지 판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감독당국과 금융권이 함께 시스템 개발에 나선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사례로 꼽힌다. 해외 사례로 보면 일반적으로 금융회사들은 자체적인 그린 택소노미를 개발해 활용하는데 이는 상당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KTSS를 활용하면 국내 금융회사는 별도로 분류 체계를 만들 필요 없이 손쉽게 녹색대출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아시아개발은행(ADB)은 금감원과 접촉해 KTSS를 아시아 국가들에 모범 사례로 소개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유럽에서는 유럽연합(EU) 택소노미가 상당히 활성화돼 있지만 아시아 택소노미는 아직 걸음마 수준에 불과하다. KTSS가 아시아 택소노미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이번 1차 배포를 시작으로 현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없는 사례와 추가 개선해야 할 부분들을 찾아 올해 말까지 시스템 보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그리고 1년 뒤인 내년 8월에는 한층 개선된 시스템을 내놓겠다는 계획이다. 또 모든 산업을 다룰 수 없는 만큼 향후 금융회사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공용 서버를 두고 시스템을 계속 강화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회사별로 자체 시스템과 연계해 활용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겠으나 올해 말까지는 시스템 연계를 모두 완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