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은 6.6조 투자하는데...예산 3000억 정부 슈퍼컴 6호기 좌초 위기
2023-08-10 16:00
AI칩 가격 폭등에 글로벌 업체들 참여 난색
수의계약도 어려워, 정부 긴급 회의
민간 예산 절반도 채 안 돼...10위권 성능 무리였다 지적
중국은 AI 반도체 6.6조 사들이는데...한국은 갑론을박만
수의계약도 어려워, 정부 긴급 회의
민간 예산 절반도 채 안 돼...10위권 성능 무리였다 지적
중국은 AI 반도체 6.6조 사들이는데...한국은 갑론을박만
약 3000억원의 국가 예산을 투입해 글로벌 10위권 슈퍼컴퓨터를 만든다는 정부 계획이 좌초 위기에 빠졌다. 성능을 포기할지 아니면 가동 시기를 늦출지를 두고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거세질 전망이지만 뾰족한 대책은 없는 상황이다.
10일 과학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공고한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구축 사업이 어떤 사업자도 참가 의사를 표하지 않아 최종 유찰됐다. 정부는 당초 6호기 사업에는 HPE(크레이), 레노버, 아토스 등 해외 주요 슈퍼컴퓨터 사업자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어떤 업체도 참여하지 않았다.
공공사업이 최종 유찰되면 수의계약을 맺을 수 있지만, 이번에는 사업 참여 뜻을 드러낸 업체가 하나도 없어 수의계약마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KISTI는 과학계 전문가들과 향후 대응을 위한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관련 내용을 과기정통부에 보고했다.
해외 사업자가 참여를 포기한 이유로는 생성형 AI 열풍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AI 반도체(GPU 포함) 가격 폭등이 꼽힌다. 업계에 따르면 해외 사업자들이 엔비디아 등 AI 반도체 업체에 제품을 주문해도 받기까지는 최소 50여 일이 걸리며 이마저도 확실히 받는다는 보장이 없다. B2B(기업 간 거래) 업계에서 당연시 여겨지던 대량 발주에 따른 가격 할인도 더는 없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로 인해 정부가 제시한 가격(약 1920억원)으로는 600페타플롭스(PF·슈퍼컴퓨터 성능단위)급 슈퍼컴퓨터를 만들기 어렵다고 설명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8월 '국가 플래그십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 고도화'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며 2023년부터 6년간 총 2929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6호기를 구축·운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6호기는 학계 AI 학습·추론(실행) 등을 지원하기 위해 대량의 AI 반도체를 탑재할 계획이었다.
IT 업계에선 처음부터 과기정통부의 6호기 예산 책정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일례로 네이버는 지난 4일 2분기 컨퍼런스콜을 통해 "AI 경쟁력에 직결된 GPU(AI 반도체) 인프라 확보를 위해 2021년부터 연간 15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고 밝혔다. 민간 기업인 네이버가 AI 반도체 구매에만 지금까지 4000억원에 가까운 돈을 투자했는데, 정작 정부는 전 세계 10위권 성능을 노린다면서 슈퍼컴 구축 비용을 네이버의 절반 이하로 잡은 것이다.
AI 반도체는 국가 AI 경쟁력을 좌우할 전략 물자가 된 지 오래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9일 "바이두·텐센트·알리바바·바이트댄스(틱톡) 등 중국 빅테크가 미국 정부의 수출 제재가 시작되기 앞서 AI 반도체(엔비디아 A800)를 확보하기 위해 50억 달러(약 6조6000억원)어치를 선주문했다"고 보도했다. 빅테크에도 부담이 되는 큰 액수인 만큼 일각에선 중국 정부가 비용 상당 수를 지원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한다.
6호기 사업은 기로에 섰다. 첫째 안은 기존 예산으로 6호기를 구축하고 600PF라는 당초 성능 목표를 포기하는 것이다. 올해로 도입 35주년을 맞이한 한국 슈퍼컴퓨터 경쟁력 악화를 피할 수 없다. 둘째 안은 관련 예산 확대를 위해 예타를 다시 신청하는 것이다. 이 경우 내년 상반기 6호기 가동은 불가능하며 슈퍼컴 5호기(누리온)의 가동 포화 상태도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6호기 성능·가동 시기 등을 놓고 과학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며 "최선의 안을 찾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10일 과학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공고한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구축 사업이 어떤 사업자도 참가 의사를 표하지 않아 최종 유찰됐다. 정부는 당초 6호기 사업에는 HPE(크레이), 레노버, 아토스 등 해외 주요 슈퍼컴퓨터 사업자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어떤 업체도 참여하지 않았다.
공공사업이 최종 유찰되면 수의계약을 맺을 수 있지만, 이번에는 사업 참여 뜻을 드러낸 업체가 하나도 없어 수의계약마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KISTI는 과학계 전문가들과 향후 대응을 위한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관련 내용을 과기정통부에 보고했다.
해외 사업자가 참여를 포기한 이유로는 생성형 AI 열풍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AI 반도체(GPU 포함) 가격 폭등이 꼽힌다. 업계에 따르면 해외 사업자들이 엔비디아 등 AI 반도체 업체에 제품을 주문해도 받기까지는 최소 50여 일이 걸리며 이마저도 확실히 받는다는 보장이 없다. B2B(기업 간 거래) 업계에서 당연시 여겨지던 대량 발주에 따른 가격 할인도 더는 없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로 인해 정부가 제시한 가격(약 1920억원)으로는 600페타플롭스(PF·슈퍼컴퓨터 성능단위)급 슈퍼컴퓨터를 만들기 어렵다고 설명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8월 '국가 플래그십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 고도화'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며 2023년부터 6년간 총 2929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6호기를 구축·운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6호기는 학계 AI 학습·추론(실행) 등을 지원하기 위해 대량의 AI 반도체를 탑재할 계획이었다.
IT 업계에선 처음부터 과기정통부의 6호기 예산 책정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일례로 네이버는 지난 4일 2분기 컨퍼런스콜을 통해 "AI 경쟁력에 직결된 GPU(AI 반도체) 인프라 확보를 위해 2021년부터 연간 15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고 밝혔다. 민간 기업인 네이버가 AI 반도체 구매에만 지금까지 4000억원에 가까운 돈을 투자했는데, 정작 정부는 전 세계 10위권 성능을 노린다면서 슈퍼컴 구축 비용을 네이버의 절반 이하로 잡은 것이다.
AI 반도체는 국가 AI 경쟁력을 좌우할 전략 물자가 된 지 오래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9일 "바이두·텐센트·알리바바·바이트댄스(틱톡) 등 중국 빅테크가 미국 정부의 수출 제재가 시작되기 앞서 AI 반도체(엔비디아 A800)를 확보하기 위해 50억 달러(약 6조6000억원)어치를 선주문했다"고 보도했다. 빅테크에도 부담이 되는 큰 액수인 만큼 일각에선 중국 정부가 비용 상당 수를 지원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한다.
6호기 사업은 기로에 섰다. 첫째 안은 기존 예산으로 6호기를 구축하고 600PF라는 당초 성능 목표를 포기하는 것이다. 올해로 도입 35주년을 맞이한 한국 슈퍼컴퓨터 경쟁력 악화를 피할 수 없다. 둘째 안은 관련 예산 확대를 위해 예타를 다시 신청하는 것이다. 이 경우 내년 상반기 6호기 가동은 불가능하며 슈퍼컴 5호기(누리온)의 가동 포화 상태도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6호기 성능·가동 시기 등을 놓고 과학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며 "최선의 안을 찾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