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가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대 129조 '초과저축'…예금·주식 등 보유"
2023-07-24 12:20
코로나 팬데믹 이후 쌓인 국내 가계 초과저축 규모가 최대 129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은 24일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보고서(BOK 이슈노트)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인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가계에 축적된 초과저축 규모가 101조~129조원 수준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팬데믹 이전(2015~2019년) 평균 7.1%였던 가계 저축률은 팬데믹 이후(2020~2022년) 평균 10.7%로 3%포인트 이상 확대됐다. 초과저축이란 가계의 가처분소득 중 소비지출로 쓰여야 할 부분이 쓰이지 않고 저축으로 축적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은이 산출한 국내 초과저축 규모(101조~129조원)는 국내 가계부문 초과저축 규모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방식으로 계산해 도출한 것이다. 이번 추산치는 국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에 이르며 명목 민간소비의 9.7~12.4%를 차지하는 큰 규모다.
뿐만 아니라 국내 가계가 초과저축을 추가 소비 재원이나 가계부채 상환 등에 활용한 부분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해까지 이어진 고용 호조와 정부 지원 등으로 소득 여건이 양호한 흐름을 보인 가운데 코로나 첫 해(2020년)를 제외하면 임금소득이 높은 증가율을 지속했고 정부 지원이 소득감소를 보전하거나 가계소득을 높이는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조 과장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 국내 가계 금융자산과 부채가 동반 증가했다"면서 "이는 우리 가계가 초과저축을 부채 상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이처럼 소비와 부채상환에 사용되지 않은 가계 초과저축은 주로 예금, 주식 등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가계 금융자산은 저축이 쌓인 영향 등으로 팬데믹 이후 현금, 예금, 주식, 펀드를 중심으로 1006조원 확대됐다. 이 역시 과거(2017~2019년 591조원)에 비해 증가폭이 크게 확대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