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치 않은 환율] 원화약세→물가상승→적자확대 또 반복?

2023-05-02 01:00

경기도 평택시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거시경제 여건이 불안한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재상승하면서 추가 악재로 등장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연고점(1337.2원)을 찍고 1340원대까지 넘보고 있다. 1400원대 진입을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환율 상승(원화 약세)은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대외적으로 무역수지, 대내적으로는 소비자물가에 각각 악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하반기 내내 지속된 인플레이션 공포의 한 축도 환율 급등이었다. 

고공행진을 거듭하던 물가가 겨우 잡히고 있는 상황에서 원화값 하락이 가속화할 경우 거시경제 건전성을 해치는 것은 물론 서민 가계도 더 팍팍해질 수밖에 없다.
 
고환율에 수입물가 오르면 무역수지 더 악화 
1일 외환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원·달러 환율이 장중 한때 1340원대를 터치했는데 지난해 11월 이후 5개월여 만의 일이다. 지난달 28일 기준 환율은 달러당 1337.7원을 기록 중이다. 3월 말 대비 상승률은 2.7% 수준이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 물가가 오르는데 우리나라는 원유 등 원자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수출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수입품 가격이 뛰면 무역수지 개선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4월 수출입 동향'을 보면 지난달 수출액은 전년 동월보다 14.2% 감소한 496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반면 수입액은 522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3%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달 무역수지는 26억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3월 이후 14개월 연속 적자 행진 중이다. 무역적자 폭이 지난 1월 정점을 찍은 뒤 점차 축소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 환율 재반등은 대형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환율 상승(원화 약세)이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무역적자가 확대되고, 무역수지 악화로 환율이 더 오르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질 수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경기 흐름대로라면 정부가 기대하는 '상저하고'가 불투명하다고 우려한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아직까지는 뚜렷한 회복보다 수출 부진이 주도하는 경기 후퇴가 여전해 상당한 위험 요인"이라며 "금융시장도 한·미 금리 역전 이슈 때문에 외환시장을 중심으로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환율 오름세가 쉽사리 꺾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진단이다.
 
간신히 잡히던 국내 물가 자극할까 '전전긍긍'
고환율은 무역 지표뿐 아니라 국내 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난해 7월(6.3%) 정점을 찍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이후 5%대를 유지하다가 올 들어 2월 4.8%, 3월 4.2% 등으로 완연한 하락세를 보였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낮아졌을지 주목되는 상황에서 환율 상승은 물가를 다시 자극할 수 있는 변수다.

원화 표시 원자재·중간재 가격이 동반 인상돼, 이를 가공한 제품 가격도 따라 오르게 되는 탓이다. 물가 상승은 국민들의 실질 구매력을 약화시켜 내수 침체를 부채질한다. 

한 국책연구기관 관계자는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원화 가치 하락 영향으로 8% 가까이 감소했는데 올해 이런 상황이 재연될 수 있다"고 전했다. 반도체 등 주력 산업의 업황 부진이 지속되는 와중에 민간 소비까지 주춤할 경우 성장과 소득이 동시에 가라앉는 악순환에 갇힐 수 있다.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미루며 물가 안정에 공을 들여 온 정부 노력도 반감될 수밖에 없다. 

성 교수는 "현 상황에서 물가가 안정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환율 안정을 통해) 국민 부담이 더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