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전쟁 서막] 중남미發 선전포고…수입 100% 韓 어쩌나
2023-02-22 06:00
멕시코 국유화에 자원민족주의 확산…2030년까지 가격 상승 전망
한국, 中·칠레 의존도 높아…수입국 다변화·제련기술 내제화 절실
한국, 中·칠레 의존도 높아…수입국 다변화·제련기술 내제화 절실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을 둘러싼 글로벌 쟁탈전이 치열하다. 멕시코가 '리튬 국유화'를 선언하면서 인접 국가이자 주요 생산국인 칠레,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등도 이 같은 흐름에 동참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리튬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는 악재다. 중남미발 자원민족주의가 글로벌 리튬 가격을 자극하면 부진한 반도체를 대신해 수출을 견인하는 배터리·전기차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미래 유망 산업과 직결된 안정적인 리튬 공급망 구축이 절실한 이유다.
21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고성능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2차전지의 핵심 원자재인 수산화리튬의 지난해 수입량은 7만톤(t), 수입액은 36억6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해 수입량은 37% 늘어났지만 수입액은 4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코로나19 회복으로 전 세계 전기차 수요가 늘면서 국제 리튬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소형 전기차나 가전제품 배터리 원자재로 사용되는 탄산리튬도 수입량과 가격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탄산리튬의 국내 수입 규모는 4만8000t으로 전년 대비 17.9%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17억4100만 달러를 기록하며 1년 전보다 무려 352.8%나 늘었다.
지난해 급등했던 국제 리튬 가격은 올 들어 중국이 신에너지차(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보조급 지급 중단을 계기로 수요 업체들이 관망세를 보이며 하락 추세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에 따른 것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은 견조한 전기차 수요가 2030년까지 리튬 가격을 끌어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수산화리튬은 현재 리튬 채굴·제련 기술이 폭증하는 수요를 따라가기 벅찬 상황"이라며 "리튬 가격은 점진적으로 우상항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 국가들이 리튬 무기화에 나서면 글로벌 공급망을 교란하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체 리튬 수입 중 64%를 중국, 31%를 칠레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 변동성에 더욱 취약한 상황이다.
과거 중국이 일본과 센카쿠 열도 분쟁을 빚는 과정에서 희토류를 전략적으로 이용했다는 점도 우리에게는 우려할 부분이다. 중국이 국제 정세와 경제적 상황에 따라 리튬과 같은 배터리 원자재 수출을 통제하면 단기간에 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블룸버그는 2021년 배터리 공급망을 보유한 30개국 중 우리나라 경쟁력을 10위로 평가하기도 했다. 배터리 부문에서 중국에 이어 전 세계 2위 생산·점유율에도 원자재 수급과 제조 환경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미국이 발효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기점으로 배터리 원자재 공급처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현재 한국산 배터리는 IRA 조항인 광물과 부품 조달비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로 공급망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역협회는 배터리 공급망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해외 광산개발 투자 활성화 △자원외교 복원 △리튬 제련산업 육성 △중국 이외 공급처 발굴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해외 광산개발과 관련해 기업이 단독으로 진행하기에는 부담이 커 국가 차원에서 투자가 절실하며 광상을 보유하지 않는 한 리튬 수급 불안은 필연적이라는 지적이다.
이번 멕시코와 같은 자원민족주의와 공급망 내재화 정책에 대응해 동맹국과 연대를 통한 공급망 다변화와 국내 리튬 제련 산업 육성 필요성도 제기된다.
2020년 기준 전 세계 리튬 생산 1위 국가는 호주지만 대부분이 중국으로 수출된 이후 고순도 리튬 화합물로 제련된다. 우리나라가 중국을 건너뛰고 호주 등을 통해 단가가 낮은 미가공 리튬을 국내에서 직접 제련한다면 추가적인 부가가치 창출과 원자재 공급처 확보, 주요 수출국에 대한 원산지 요건 충족까지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현재 국내 유일한 리튬 제련 기업인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친환경 제련 공법을 개발 중이며 포스코도 내년 준공을 목표로 광양에 수산화리튬 공장 건설을 진행 중이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안정적인 리튬 공급망 구축은 우리나라 배터리 공급망의 근본적인 경쟁력과 직결된 문제"라며 "다만 단기간에 중국 광물 의존도를 낮출 수 없는 만큼 중국 측 반발을 최소화하는 신중한 대응 전략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리튬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는 악재다. 중남미발 자원민족주의가 글로벌 리튬 가격을 자극하면 부진한 반도체를 대신해 수출을 견인하는 배터리·전기차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미래 유망 산업과 직결된 안정적인 리튬 공급망 구축이 절실한 이유다.
21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고성능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2차전지의 핵심 원자재인 수산화리튬의 지난해 수입량은 7만톤(t), 수입액은 36억6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해 수입량은 37% 늘어났지만 수입액은 4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코로나19 회복으로 전 세계 전기차 수요가 늘면서 국제 리튬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소형 전기차나 가전제품 배터리 원자재로 사용되는 탄산리튬도 수입량과 가격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탄산리튬의 국내 수입 규모는 4만8000t으로 전년 대비 17.9%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17억4100만 달러를 기록하며 1년 전보다 무려 352.8%나 늘었다.
지난해 급등했던 국제 리튬 가격은 올 들어 중국이 신에너지차(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보조급 지급 중단을 계기로 수요 업체들이 관망세를 보이며 하락 추세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에 따른 것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은 견조한 전기차 수요가 2030년까지 리튬 가격을 끌어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수산화리튬은 현재 리튬 채굴·제련 기술이 폭증하는 수요를 따라가기 벅찬 상황"이라며 "리튬 가격은 점진적으로 우상항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 국가들이 리튬 무기화에 나서면 글로벌 공급망을 교란하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체 리튬 수입 중 64%를 중국, 31%를 칠레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 변동성에 더욱 취약한 상황이다.
과거 중국이 일본과 센카쿠 열도 분쟁을 빚는 과정에서 희토류를 전략적으로 이용했다는 점도 우리에게는 우려할 부분이다. 중국이 국제 정세와 경제적 상황에 따라 리튬과 같은 배터리 원자재 수출을 통제하면 단기간에 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블룸버그는 2021년 배터리 공급망을 보유한 30개국 중 우리나라 경쟁력을 10위로 평가하기도 했다. 배터리 부문에서 중국에 이어 전 세계 2위 생산·점유율에도 원자재 수급과 제조 환경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미국이 발효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기점으로 배터리 원자재 공급처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현재 한국산 배터리는 IRA 조항인 광물과 부품 조달비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로 공급망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역협회는 배터리 공급망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해외 광산개발 투자 활성화 △자원외교 복원 △리튬 제련산업 육성 △중국 이외 공급처 발굴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해외 광산개발과 관련해 기업이 단독으로 진행하기에는 부담이 커 국가 차원에서 투자가 절실하며 광상을 보유하지 않는 한 리튬 수급 불안은 필연적이라는 지적이다.
이번 멕시코와 같은 자원민족주의와 공급망 내재화 정책에 대응해 동맹국과 연대를 통한 공급망 다변화와 국내 리튬 제련 산업 육성 필요성도 제기된다.
2020년 기준 전 세계 리튬 생산 1위 국가는 호주지만 대부분이 중국으로 수출된 이후 고순도 리튬 화합물로 제련된다. 우리나라가 중국을 건너뛰고 호주 등을 통해 단가가 낮은 미가공 리튬을 국내에서 직접 제련한다면 추가적인 부가가치 창출과 원자재 공급처 확보, 주요 수출국에 대한 원산지 요건 충족까지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현재 국내 유일한 리튬 제련 기업인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친환경 제련 공법을 개발 중이며 포스코도 내년 준공을 목표로 광양에 수산화리튬 공장 건설을 진행 중이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안정적인 리튬 공급망 구축은 우리나라 배터리 공급망의 근본적인 경쟁력과 직결된 문제"라며 "다만 단기간에 중국 광물 의존도를 낮출 수 없는 만큼 중국 측 반발을 최소화하는 신중한 대응 전략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