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3% 시대] 궁지로 몰리는 제2금융권…활로가 없다

2022-10-12 10:51

 

기준금리가 연 3%까지 올라가면서 제2금융권의 위화감이 최고조에 다다랐다. 현재도 영업 환경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 더 막다른 궁지로 몰리게 됐다. 이후 자금 조달은 물론 영업(대출) 등에서 전방위적인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문제는 이번 금리 인상이 끝이 아니라는 점이다. 시장에선 기준금리가 올 연말 3.50%, 내년 1분기엔 3.75%까지 오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제2금융권에선 카드>저축은행>보험 순으로 타격이 클 것으로 관측된다.
 
카드사는 특히 ‘조달 비용’ 확보 측면에서 치명적이다. 카드사는 수신(예·적금)기능이 없어 여신전문채권(여전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는데, 향후 발행 금리 추가 상승이 불가피하다. 현재도 올 초보다 2배 이상 높아진 상황에 비용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다. 지난 11일 기준 여전채 AA+등급 3년 만기 금리는 5.728%다. 연초(2.42%)보다 2배 이상 높아졌다. 카드채 신용 스프레드도 1.383%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이는 회사채가 국고채보다 약세를 보인다는 뜻으로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가 그만큼 어려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드사는 이를 상쇄하기 위해 장기 기업어음(CP) 발행에 적극 나서고 있다. 장기 CP 발행 비중을 높이면 조달 부담 축소, 조달수단 다양화 등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조차도 좋은 상황은 아니다. 대형 카드사는 이미 추가적인 장기 CP 조달은 어렵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상태다. 이에 최근에는 '금리변동차 회사채'와 같은 생소한 채권 발행에도 나서고 있다.
 
신용판매 측면에서도 부정적이다. 통상적으로 금리가 올라가면 은행에 돈이 몰리고 그에 비례해 소비는 위축되는 흐름을 보인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카드 결제량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저축은행도 상황은 좋지 못하다. 직접적인 원인은 ‘예대마진(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이)’ 축소다.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예금·대출금리도 함께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예금금리 상승 폭을 대출금리보다 크게 가져갈 수밖에 없다. 취약 차주가 몰린 업권 특성상 대출금리는 대부분 이미 법적 최고 수준에 근접했기 때문이다.
 
자금 조달 환경 악화도 불가피하다. 금리 인상기에 시중은행과 예금금리차가 이미 최저치까지 좁혀진 상황에 추가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리 역전’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고객이 시중은행으로 대거 이탈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대출 환경 역시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건전성 악화, 작업성 사업자 주택담보대출 등이 겹쳐 좋지 못하다.
 
보헙업계는 타격이 그나마 가장 작다.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상존한다. 긍정적인 건 ‘수익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다. 금리 상승 시 보험사가 소유한 신규 채권에 대한 이자수익이 증가하고, 이자 역마진 감소로 인한 투자이익도 늘어난다. 부정적인 건 지급 여력 비율(RBC) 하락 현상이다. RBC 비율은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수치로 보험회사 재무건전성을 측정하는 지표다. 보험업법에서 100% 이상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150% 이상을 권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