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수교 30주년 특별 기고] 영화 인생(Lifetimes) 그리고 음수사원(飮水思源)
2022-10-04 16:07
<편집자주> 올해는 1992년 8월 24일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 지 30년이 되는 해입니다. '삼십이립(三十而立)'이라는 말이 있듯이 한·중 양국 관계의 우호와 협력을 다져야 하는 시기가 됐습니다. 한국과 중국 수교 30주년을 맞아 지난 시절을 되돌아보며 앞으로 뜻을 함께하자는 취지로 각계 저명인사의 깊이 있는 견해가 담긴 글을 본지에 싣게 되었습니다. 지난 30년은 한·중 양국이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나가고 경제 파트너로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는 등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물론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에 적지 않은 어려움도 있었지만 한국과 중국은 함께 많은 역경을 이겨왔습니다. 한·중 관계는 이제 새로운 기점에 서 있습니다.
이번 기고 릴레이에는 한·중 수교 과정의 경험담부터 한·중 교류를 위해 현장에서 땀 흘린 여러분들의 이야기까지, 양국 수교 30주년의 역사가 생생히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다가오는 30년에 대한 희망과 기대가 가득히 담겨있습니다. 한국의 북방외교와 중국의 개혁개방 그리고 세계사의 변화에 순응하는 한·중 수교는 우리들의 소중한 역사이기에 독자들에게 이 글이 한·중 관계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번 기고 릴레이에는 한·중 수교 과정의 경험담부터 한·중 교류를 위해 현장에서 땀 흘린 여러분들의 이야기까지, 양국 수교 30주년의 역사가 생생히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다가오는 30년에 대한 희망과 기대가 가득히 담겨있습니다. 한국의 북방외교와 중국의 개혁개방 그리고 세계사의 변화에 순응하는 한·중 수교는 우리들의 소중한 역사이기에 독자들에게 이 글이 한·중 관계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인생’을 본 후 필자는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가족의 인생을 통해 ‘희로애락’을 모두 표현했고 나는 공감할 수 있었다. 아니다. 분명 필자가 어린 시절 배운 공산당과 달랐다. 20년 동안 배운 것이 영화 한 편에 와르르 무너졌다. 영화에서 이념과 정치는 보이지 않았고 사람과 감정만 보였다.
청년 시절 돌이켜 가장 기억에 남는 글은 ‘음수사원(飮水思源)’이다. 지금 필자의 삶이 있는 이유가 누군가의 수고인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양국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했다. 그들 덕분에 필자가 행복한 청년 시절을 보냈고 다양한 사람을 만나 세계관이 넓어졌다. 또한 한·중 수교가 이뤄지게 한 양국 지도자와 교류사업 참여한 수많은 기관의 담당자와 활동가 그리고 참가자들이 힘을 기울인 덕분에 지금의 필자가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우물물을 마실 때 그 우물을 판 사람을 기억해야 한다. 필자는 여기에 하나를 덧붙이고자 한다. 우물물이 마르지 않도록 우리는 다음 사람을 위해 마중물을 남겨놓아야 한다. 우물을 힘들게 파신 앞선 세대의 수고로 필자는 청년 시절을 행복한 추억으로 채웠다. 이제 40대가 된 필자는 다음 세대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마중물을 남겨놓아야 하지 않을까? 마중물을 없애지 않고 그 우물물을 누구나 마실 수 있도록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