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친환경경영' 선언···기후변화 대응·자원 순환 활성화에 집중
2022-10-03 12:00
삼성SDI가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소재 기업으로서 글로벌 기후 변화와 환경 위기 극복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 위해 '친(親)환경경영'을 선언했다.
삼성SDI는 3일 '기후 변화 대응'과 '자원 순환' 등 2개 테마 아래 8대 세부 과제들을 선정해 중점 추진함으로써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내용의 환경경영 전략을 발표했다.
삼성SDI는 올해 초 최윤호 사장 취임 이후 '2030년 글로벌 톱 티어(Top Tier) 기업'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초격차 기술 경쟁력과 최고의 품질,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 등과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한 바 있다.
우선 삼성SDI는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국내외 전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헝가리와 톈진, 말레이시아 등 해외 사업장부터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높여 나가기로 했다. 또 재생에너지 인증서를 구매하거나 사업장 내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등 다양한 방안을 동원해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높여 나갈 예정이다.
특히 삼성SDI는 최근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했다. 이를 통해 2050년까지 삼성SDI가 사용하는 전력량 100%를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충당하겠다는 약속을 구체화했다.
이어 삼성SDI는 온실가스 주요 배출 원인인 LNG 활용을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LNG보일러를 전기보일러로 대체하고, 드라이룸 내 제습기의 스팀 사용량을 줄이기로 했다. 또 소각설비(대기방지시설)를 LNG 미사용 흡착설비로 교체할 계획이다.
아울러 탄소발자국에도 신경을 쓴다. 이는 유럽연합(EU) '배터리 규제' 법제화에 대한 대응이기도 하다. 규제안에는 단계적으로 탄소발자국 공개 의무화 및 배출량 등급화를 실시한 뒤 궁극적으로는 배출량을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삼성SDI는 탄소발자국 산정을 위한 내부 역량을 강화하고, 배터리 제조 전부터 폐기까지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여 탄소발자국 인증 제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향후 전기차 보급이 활성화하면 폐배터리도 점차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삼성SDI는 배터리 전 생애주기 관점에서 폐배터리로 인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코발트·니켈·리튬 등 배터리 핵심 원소재들을 직접 광산에서 채굴하지 않고도 배터리 리사이클링 확대를 통해 재활용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가겠다는 것이다.
삼성SDI는 국내 리사이클링 파트너사와 협력해 천안, 울산 등 국내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공정 스크랩에서 배터리 핵심 원소재를 회수하고 배터리 제조에 재활용하는 체계를 2019년부터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한편 삼성SDI는 '친환경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지난 1월 CFO인 김종성 경영지원실장(부사장)을 TF장으로 하는 '환경경영TF'를 발족했다. 이후 이사회 산하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신설하고, 2월에는 기획팀 내에 있던 'ESG 전략그룹'을 CFO 직속 조직인 '지속가능경영사무국'으로 재편했다.
삼성SDI는 3일 '기후 변화 대응'과 '자원 순환' 등 2개 테마 아래 8대 세부 과제들을 선정해 중점 추진함으로써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내용의 환경경영 전략을 발표했다.
삼성SDI는 올해 초 최윤호 사장 취임 이후 '2030년 글로벌 톱 티어(Top Tier) 기업'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초격차 기술 경쟁력과 최고의 품질,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 등과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한 바 있다.
우선 삼성SDI는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국내외 전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헝가리와 톈진, 말레이시아 등 해외 사업장부터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높여 나가기로 했다. 또 재생에너지 인증서를 구매하거나 사업장 내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등 다양한 방안을 동원해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높여 나갈 예정이다.
특히 삼성SDI는 최근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했다. 이를 통해 2050년까지 삼성SDI가 사용하는 전력량 100%를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충당하겠다는 약속을 구체화했다.
이어 삼성SDI는 온실가스 주요 배출 원인인 LNG 활용을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LNG보일러를 전기보일러로 대체하고, 드라이룸 내 제습기의 스팀 사용량을 줄이기로 했다. 또 소각설비(대기방지시설)를 LNG 미사용 흡착설비로 교체할 계획이다.
아울러 탄소발자국에도 신경을 쓴다. 이는 유럽연합(EU) '배터리 규제' 법제화에 대한 대응이기도 하다. 규제안에는 단계적으로 탄소발자국 공개 의무화 및 배출량 등급화를 실시한 뒤 궁극적으로는 배출량을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삼성SDI는 탄소발자국 산정을 위한 내부 역량을 강화하고, 배터리 제조 전부터 폐기까지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여 탄소발자국 인증 제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향후 전기차 보급이 활성화하면 폐배터리도 점차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삼성SDI는 배터리 전 생애주기 관점에서 폐배터리로 인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코발트·니켈·리튬 등 배터리 핵심 원소재들을 직접 광산에서 채굴하지 않고도 배터리 리사이클링 확대를 통해 재활용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가겠다는 것이다.
삼성SDI는 국내 리사이클링 파트너사와 협력해 천안, 울산 등 국내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공정 스크랩에서 배터리 핵심 원소재를 회수하고 배터리 제조에 재활용하는 체계를 2019년부터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한편 삼성SDI는 '친환경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지난 1월 CFO인 김종성 경영지원실장(부사장)을 TF장으로 하는 '환경경영TF'를 발족했다. 이후 이사회 산하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신설하고, 2월에는 기획팀 내에 있던 'ESG 전략그룹'을 CFO 직속 조직인 '지속가능경영사무국'으로 재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