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면치기 시대에 밥상머리 예절이 필요한 이유
2022-08-29 14:21
'면치기' 강요 방송…음소거 먹방엔 면박
식사 소리 권장 문화, 식습관 해칠 우려
잘못된 식습관, 시기 놓치면 교정 어려워
식사 소리 권장 문화, 식습관 해칠 우려
잘못된 식습관, 시기 놓치면 교정 어려워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의 어린 자녀가 직접 쓴 식사 예절. [사진=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인스타그램]
'먹을 때 소리 내 먹지 말기'.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어린 자녀에게 첫 번째로 강조한 식사 예절이다. '후루룩 쩝쩝' 소리 내 먹는 식습관은 상대방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기 때문이다. 크게 소리 내 먹는 행동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의 식사 예절에도 어긋난다. 쩝쩝 소리는 함께 식사하는 이의 귀를 거슬리게 할뿐더러 입을 연 채로 먹다 보니 입 안 음식물이 상대에게 그대로 노출된다. 맞은편에 앉은 이의 눈과 귀가 고역인 셈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도 선비 집안 예절을 다룬 수양서 '사소절'에서 소리 내 먹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사소절'이 나온 지 약 400년이 지났어도 쩝쩝 소리에 대한 거부감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한때 온라인에선 소리 내 먹는 이들을 '쩝쩝충'이라 비하하며 밈(meme·유행 콘텐츠)으로 소비했다.
지난 13일 MBC '전지적 참견 시점'에서 배우 이정재가 비빔국수 면발을 이로 끊어낸 뒤 소리 내지 않고 삼키자 게스트들은 이해할 수 없단 반응을 보였다. 이를 본 방송인 이영자가 "국수를 (먹으면서) 소리를 안 내요?"라며 물은 뒤 '후루룩' 소리 내며 면을 빨아들이자 게스트들은 "이렇게 먹어야지"라고 거들었다. 이정재는 깜짝 놀란 눈으로 이영자를 바라봤지만 다른 게스트는 "존경의 눈빛"이라고 포장했다.
배우 이정재가 방송인 이영자의 면치기(면발을 끊지 않고 먹기)를 보고 깜짝 놀란 모습. [사진=MBC '전지적 참견 시점' 방송화면 갈무리]
문제는 식사 소리를 권장하는 방송 문화가 왜곡된 식사 예절을 부추길 수 있단 점이다. 특히 기본 생활 습관이 형성돼 가는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더욱 크다. 벌써 유튜브나 틱톡 등엔 '면치기(면발을 끊지 않고 먹기) 도전'을 외치며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식습관을 자랑하듯 올린 초등학생들의 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어린 학생들의 경우 식습관을 길들일 타이밍을 놓치면 고치기도 쉽지 않다. 밥 먹을 때 소리 안 내기, 면 먹을 땐 국물이 튀지 않게 유의하기 등 면치기가 판치는 세상에 밥상머리 예절이 간절한 이유다.
한편 이영자의 후루룩 소리를 듣고 놀란 이정재 표정을 본 누리꾼은 이렇게 말했다. "천민 먹부림을 보고 놀란 대감집 영감". 이 댓글엔 1800명 이상이 공감을 뜻하는 '좋아요'를 눌렀다.
한편 이영자의 후루룩 소리를 듣고 놀란 이정재 표정을 본 누리꾼은 이렇게 말했다. "천민 먹부림을 보고 놀란 대감집 영감". 이 댓글엔 1800명 이상이 공감을 뜻하는 '좋아요'를 눌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