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상주 수암종택'

2022-08-23 16:48
경북 북부지방 상류주택의 원형 잘 보존된 불천위 종가

상주 '수암종택' 전경 [사진=상주시]

“서애 류성룡 선생의 셋째 자녀 류진선생을 불천위로 모시는 수암종택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것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서애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셋째 아들 수암 류진(柳袗, 1582~1635)을 불천위로 모시는 상주지역의 대표 종가인 ‘상주 수암종택(尙州 修巖宗宅)’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됐다.
 
‘상주 수암종택’은 속리산, 팔공산, 일월산의 지맥이 모이고, 낙동강과 위천이 합류하는 삼산이수의 명당자리에 자리하고 있으며, ㅁ자형 본채를 중심으로 별동의 녹사청과 사당이 위치하고 있다.
 
구전에 의하면 류성룡의 수제자인 상주 출신 우복 정경세(鄭經世, 1563~1633)가 집터를 정해주었다고 하며, 실제 우복종택은 약 32km 떨어져 있다.
 
본채는 안채와 사랑채가 하나로 연결된 ㅁ자형 건물로 경북 북부지방의 건축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고 특히 안채 대청 우측 마루방의 지면을 들어 올려 누마루처럼 꾸민 점은 다른 고택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구조다.
 
또한 안채 대청 상량묵서에서 건립연대(1858년)가 명확하게 남아 있는 등 비교적 원형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다.
 
녹사청은 본채 전면에 있는 ㄱ자형 건물로 고종 때 좌의정을 지낸 류후조(1798~1876)가 1872년 봉조하(奉朝賀)를 제수 받은 후 녹봉을 지고 오는 관리들을 맞이하거나 묵게 하는 용도로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건물이 민가에 남아 있는 것이 희소한 사례로 평가되고 있고 청백리 집안답게 별다른 장식 없이 소박하지만 당시 사회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야사에 따르면 파락호 생활을 하던 흥선대원군이 한때 수암종택에 머물면서 영남지역 인물들을 파악하며 후일을 도모했다고 한다.
 
종가에서 전해오는 죽병(대나무 병풍)이 당시 흥선대원군이 그려준 것이라고 한다.
 
흥선대원군 집권 후 남인계 중용책에 따라 류후조는 1864년(고종 1년) 이조참판, 1866년 우의정, 1867년 좌의정에 오르게 된다.

‘상주 수암종택’은 불천위 제사 외에도 기제, 묘제 등 제례문화가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고 녹패, 간찰, 문집 등 고문헌과 등롱, 가마, 관복 등 민속유물이 다수 남아 있어 19세기 이전 상주지역 상류주택에서의 생활문화를 잘 보여 주고 있다.
 
특히 류진이 남긴 ‘임진록(壬辰錄)’, ‘임자록(壬子錄)’과 흥선대원군과 류후조가 주고 받은 ‘운현간첩(雲峴簡牒)’ 등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조선의 정치·사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다.
 
현재 이들 자료들은 상주박물관, 한국국학진흥원, 경북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에 기증·기탁돼 보존되고 있다.

 한편, 상주 수암종택에는 벼슬길에 올랐음에도 절조를 지켜 청렴했던 류후조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일화가 전해오는데 녹봉이 떨어졌을 때 손님이 찾아오면 아무것도 넣지 않고 끓인 백비탕(白沸湯)을 놋그릇에 담아 정성껏 대접해 손님에 대한 예를 다했다고 한다.
 
이러한 기상은 후손에게 이어졌다.
 
류진의 11대손 류우국(柳佑國, 1895~1928)은 1920년 상해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했고, 1923년 조선의열단에서 김지섭 등과 함께 활동했으며, 북경에서 ‘혁명도보’, ‘혈조’와 같은 신문과 잡지를 발행했다.
 
이후 1926년 독립운동 자금조달 차 국내에 잠입해 활동하던 중 1928년 급병으로 요절했으며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됐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앞으로 수암종택의 보존관리뿐만 아니라 서애 류성룡 선생의 깊은 학문과 올곧았던 청렴정신이 다음 세대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