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오늘의 뉴스 종합] [아베 사망] 기시다 국정 운영에 영향 불가피…'아베파' 향방은? 外

2022-07-09 22:13

[사진=아주경제]

[아베 사망] 기시다 국정 운영에 영향 불가피…'아베파' 향방은?
일본 정치권에 태풍이 몰아칠 전망이다. 자민당은 물론이고 기시다 내각 국정 운영에 막강한 힘을 발휘했던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일본 우익의 중심축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시사통신 등 일본 언론은 아베 전 총리의 사망이 참의원 선거와 기시다 내각의 국정 운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9일 보도했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이번 사망 소식을 접한 뒤 “큰 도움을 받아 왔다”며 “(아베 전 총리를 받들어) 책임을 완수하겠다"고 밝혔다.

아베 전 총리가 정치권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자민당 최대 파벌인 세이와정책연구회(세이와카이)의 회장으로 취임했다. 세이와카이의 전신은 아베 전 총리의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의 '십일회'로, 아베 측근들이 장악하고 있어서 '아베파'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루가 멀다하고 적발되는 마약사범…안전지대 없나
최근 유흥주점에서 손님이 건넨 술을 마신 종업원이 숨진 사건을 경찰이 수사하던 중 약 2000명이 투약할 수 있는 마약이 발견되고, 서울 시내 숙박업소에서 마약을 투약한 남성들이 발견되는 등 관련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등이 겹치면서 직접 구매하고 투약이 이뤄지던 마약 범죄의 수법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가상화폐 등을 이용한 '비대면 거래'로 이뤄지면서 2030세대는 물론 10대들도 마약에 쉽게 노출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학생, 회사원, 가정주부들까지 마약에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를 전담할 부처가 없다는 것이다. 경찰과 검찰 등에서 수사를 하고 있지만 마약 수사·단속이 분산돼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아베 사망] 경제단체도 일제히 애도···"비극적 사건 안타까워, 한일관계 회복 힘쓸 것"
경제단체들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일본 총리의 선거 지원 유세 중 피격 사망과 관련해 일제히 애도를 표했다. 그러면서 한일관계 회복과 경제협력에 힘쓰겠다고 다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9일 "비극적 사건으로 사망한 아베 전 일본 총리에 대해 깊은 애도를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밝혔다.

이어 "이른 시일 내에 이번 사건이 해결돼 일본 국민과 경제계가 충격에서 벗어나길 바란다"며 "한일관계 회복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도 이날 "아베 전 총리의 갑작스러운 서거에 한국 경제계를 대표해 깊은 조의를 표한다"며 "이번 일로 큰 충격을 받았을 유가족과 일본 국민께 심심한 위로를 전한다"고 밝혔다.
[개 식용 종식] 44년 기다린 종지부...정부는 막판 눈치보기 중?
수십 년간 논란이 된 개 식용 문제가 방점을 코앞에 두고 또 안갯속에 빠졌다. 개 식용 종식이라는 큰 틀로 방향이 잡혔지만 이해당사자들이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직접 협상 테이블을 마련해 이해당사자 간 갈등 중재에 나섰다. 하지만 정작 일각에서는 정부가 위원회 내부 갈등 속에서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적 합의를 도출한다는 명목으로 뒷짐 지며 시간만 보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중국 6월 소비자물가 23개월 만에 최고치
중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CPI)가 지난 2020년 7월 이후 2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2.5% 올랐다. 전달 상승률(2.1%)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의 2.4%도 웃돌았다. 이는 2020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기도 하다.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진 세계 주요국과 달리 중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1월 이후 줄곧 2% 이내의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유지됐지만 지난 4월 다시 2%대로 올라섰다.

중국의 올해 물가 통제선 3%와는 거리가 있지만, 안심할 순 없는 상황이다. 올 초까지만 해도 0.9% 상승률을 보였던 소비자물가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