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뷰] 관광산업 회복 지원, '양'과 '질' 균형 맞춰야
2022-07-06 11:00
"2020년 방한외래객 2000만 시대를 열겠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방한외래객 1750만명 달성 성과에 힘입은 정부가 2020년 방한외래객 유치 목표를 이같이 밝혔다. 하지만 꿈은 오래 가지 못했다. '코로나19'라는 덫에 걸린 탓이다.
관광은 정치·외교·사회·환경 등 외부 변수에 무척 취약한 산업이다. 코로나19 확산 전에도 여러 차례 풍파를 견뎠다.
2003년에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으로 직격탄을 맞았고, 2013년에는 이명박 당시 대통령 독도 방문을 계기로 일본인 관광객이 급감했다.
2014년에는 세월호 참사로, 2015년에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유행으로, 2017년에는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를 둘러싼 한·중 갈등으로 양국 관광교류가 급감했다. 2019년에는 한·일 무역 갈등으로 인해 또 한 차례 위기를 겪은 관광산업이다.
그리고 2020년 초, 유례없는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덮쳤다.
감염병 확산 초기만 해도 과거 창궐했던 여느 감염병처럼 최대 6개월이면 회복할 수 있을 거로 점쳤다. 하지만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코로나19는 다양한 '변이'로 재확산하며 오랜 세월 전 세계를 고통 속으로 몰아넣었다.
2019년 해외여행(아웃바운드)과 방한외래객(인바운드)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호황을 누렸던 여행업계는 코로나19 확산세에 무서운 속도로 곤두박질쳤고, 매출까지 덩달아 급감하며 그동안 겪지 못했던 공포를 맛봤다.
확산세는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았다. 급격한 시장 침체로 전례 없는 위기를 겪은 관광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는 회복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일상 회복으로 가는 이 시기, '관광산업 회복'이라는 무거운 책임감을 등에 업고 새 정부가 출범했다.
정부는 인수위 시절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를 통해 ‘여행으로 행복한 국민, 관광으로 발전하는 대한민국'을 관광 분야 과제로 제시하고, '코로나19 피해 회복과 관광산업의 재건'에 힘을 쏟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코로나19 이후 심각한 침체를 겪은 관광시장의 빠른 회복과 재도약이 궁극적 목표다.
이를 위해 정부는 관광시장 회복을 위한 종합적·체계적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그동안 중단했던 관광축제 및 박람회 활성화, 방한외래객 대상 환대캠페인(코리아그랜드세일) 등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오는 2027년까지 외래관광객 3000만명 유치와 관광산업 규모 18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다.
정부는 출범 전후 관광업계와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소통' 움직임을 보이며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관광은 우리나라 5대 수출산업"임을 강조하며, 관광시장이 회복될 때까지 대규모 금융지원을 이어가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오는 2028년까지 관광기금 저리 융자와 신용보증부 특별융자를 총 3조원 규모로 지원하고, 관광기금 융자원금 상환유예 및 이자 경감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관광 분야 국정과제는 뜬구름 잡기라고 꼬집는다. 대부분 현재 논의 중인 정책들을 언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는 "이런 '양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시장 회복을 위한 참신하고 미래지향적인 비전 제시도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사상 최악의 감염병 확산세에 오랜 세월 보릿고개를 넘는 사이, 관광시장은 많은 것이 변했다. 여행자들은 진화했다. 시장 회복을 이유로 눈에 보이는 '양적 성장'만을 좇다보면 이제 막 재도약을 시작한 관광산업은 발전은커녕 퇴보할 수밖에 없다.
올해는 제6차 관광진흥기본계획(2023~2026)을 수립하는 해이기도 하다. 새 정부 관광정책의 비전과 로드맵을 잘 구축하려면 계획 수립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고, 여행업 회복과 발전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균형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
그래야 '여행으로 행복한 국민, 관광으로 발전하는 대한민국'을 과제로 제시한 새 정부의 계획이 무색해지지 않을 것이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관광산업이 한 단계 더 진화할 것이다.
관광은 정치·외교·사회·환경 등 외부 변수에 무척 취약한 산업이다. 코로나19 확산 전에도 여러 차례 풍파를 견뎠다.
2003년에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으로 직격탄을 맞았고, 2013년에는 이명박 당시 대통령 독도 방문을 계기로 일본인 관광객이 급감했다.
2014년에는 세월호 참사로, 2015년에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유행으로, 2017년에는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를 둘러싼 한·중 갈등으로 양국 관광교류가 급감했다. 2019년에는 한·일 무역 갈등으로 인해 또 한 차례 위기를 겪은 관광산업이다.
그리고 2020년 초, 유례없는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덮쳤다.
감염병 확산 초기만 해도 과거 창궐했던 여느 감염병처럼 최대 6개월이면 회복할 수 있을 거로 점쳤다. 하지만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코로나19는 다양한 '변이'로 재확산하며 오랜 세월 전 세계를 고통 속으로 몰아넣었다.
2019년 해외여행(아웃바운드)과 방한외래객(인바운드)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호황을 누렸던 여행업계는 코로나19 확산세에 무서운 속도로 곤두박질쳤고, 매출까지 덩달아 급감하며 그동안 겪지 못했던 공포를 맛봤다.
확산세는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았다. 급격한 시장 침체로 전례 없는 위기를 겪은 관광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는 회복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일상 회복으로 가는 이 시기, '관광산업 회복'이라는 무거운 책임감을 등에 업고 새 정부가 출범했다.
정부는 인수위 시절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를 통해 ‘여행으로 행복한 국민, 관광으로 발전하는 대한민국'을 관광 분야 과제로 제시하고, '코로나19 피해 회복과 관광산업의 재건'에 힘을 쏟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코로나19 이후 심각한 침체를 겪은 관광시장의 빠른 회복과 재도약이 궁극적 목표다.
이를 위해 정부는 관광시장 회복을 위한 종합적·체계적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그동안 중단했던 관광축제 및 박람회 활성화, 방한외래객 대상 환대캠페인(코리아그랜드세일) 등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오는 2027년까지 외래관광객 3000만명 유치와 관광산업 규모 18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다.
정부는 출범 전후 관광업계와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소통' 움직임을 보이며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관광은 우리나라 5대 수출산업"임을 강조하며, 관광시장이 회복될 때까지 대규모 금융지원을 이어가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오는 2028년까지 관광기금 저리 융자와 신용보증부 특별융자를 총 3조원 규모로 지원하고, 관광기금 융자원금 상환유예 및 이자 경감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관광 분야 국정과제는 뜬구름 잡기라고 꼬집는다. 대부분 현재 논의 중인 정책들을 언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는 "이런 '양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시장 회복을 위한 참신하고 미래지향적인 비전 제시도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사상 최악의 감염병 확산세에 오랜 세월 보릿고개를 넘는 사이, 관광시장은 많은 것이 변했다. 여행자들은 진화했다. 시장 회복을 이유로 눈에 보이는 '양적 성장'만을 좇다보면 이제 막 재도약을 시작한 관광산업은 발전은커녕 퇴보할 수밖에 없다.
올해는 제6차 관광진흥기본계획(2023~2026)을 수립하는 해이기도 하다. 새 정부 관광정책의 비전과 로드맵을 잘 구축하려면 계획 수립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고, 여행업 회복과 발전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균형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
그래야 '여행으로 행복한 국민, 관광으로 발전하는 대한민국'을 과제로 제시한 새 정부의 계획이 무색해지지 않을 것이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관광산업이 한 단계 더 진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