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투자' 주도한 삼성 450조·현대차 63조 투자…한국 경제 부흥 이끈다
2022-05-24 18:32
삼성, 파운드리 확대...바이오 부문 '제2 반도체 신화' 목표
현대, 기아·현대모비스와 협공…친환경·로보틱스 등 미래 신기술 주력
현대, 기아·현대모비스와 협공…친환경·로보틱스 등 미래 신기술 주력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을 전후해 대미 투자를 공언했던 삼성과 현대차그룹이 새 정부가 공언한 ‘민간이 이끄는 역동적 경제’를 위해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삼성은 향후 5년간 반도체·바이오·신성장 IT(정보통신)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450조원을 투자한다고 24일 밝혔다. 특히 이 가운데 80%인 360조원을 연구개발(R&D), 시설 투자 등 국내에 투자한다. 또한 청년 고용 확대·미래 인재 육성을 위해 5년간 8만명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삼성은 향후 5년간 반도체·바이오·신성장 IT(정보통신)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450조원을 투자한다고 24일 밝혔다. 특히 이 가운데 80%인 360조원을 연구개발(R&D), 시설 투자 등 국내에 투자한다. 또한 청년 고용 확대·미래 인재 육성을 위해 5년간 8만명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삼성, 반도체·바이오 양대 축으로 투자...8만명 신규 채용도
삼성의 투자 핵심은 반도체와 바이오를 양대 축으로 삼아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주도하고 바이오 분야에서도 '제2의 반도체 신화'를 이루겠다는 것이다. 또 인공지능(AI)·차세대 통신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IT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반도체의 경우 지난 30년간 선도해온 메모리 분야의 '초격차' 위상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신소재·신구조R&D를 강화하고, 첨단 극자외선(EUV) 기술을 조기 도입하는 등 첨단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팹리스(설계) 시스템반도체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 중점 투자를 예고한 점이다. 이는 그동안 메모리반도체에 편중된 반도체 사업 구조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고성능 저전력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5G·6G 통신모뎀 등 초고속통신 반도체, 고화질 이미지센서 등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파운드리 사업은 GAA(Gate-All-Around) 등 차세대 생산 기술을 적용해 3나노 이하의 제품을 조기에 양산할 계획이다. 또 차세대 패키지 기술 확보로 연산칩과 메모리가 함께 탑재된 융복합 솔루션을 개발, 업계 선두권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삼성은 바이오 분야에서도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해 '제2의 반도체 신화'를 구현하겠다는 목표다. 그동안 삼성의 바이오사업은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과 바이오시밀러(복제약)를 양대 축으로 삼아 성장해왔다. 현재 건설 중인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이 완료되면 CDMO 분야 생산능력은 62만L(리터)로 세계 1위로 도약하게 된다. 이어 5·6 공장 건설에 나서는 등 공격적 투자와 생산기술 역량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로 거듭날 계획이다.
삼성은 인공지능(AI)과 6G 등 차세대 통신 등 신성장 IT 분야에도 투자를 강화,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삼성은 이미 반도체는 물론 모바일 기기, TV, 가전 등 사실상 모든 사업 부문에서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고 '삼성 AI 포럼' 등도 개최했다. 아울러 6세대 이동통신(6G) 핵심 기술 선점 및 글로벌 표준화를 통해 통신 분야에서도 차세대 통신 분야에서도 초격차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삼성은 향후 5년간 신규로 8만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삼성은 향후 3년간 4만명을 채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 최근 반도체 산업 분야 인재육성 필요성이 커지면서 신규 채용 규모를 더 늘렸다. 삼성은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인 반도체와 바이오 등 핵심사업 중심으로 채용 규모를 더욱 확대, 민간에 의한 좋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도체의 경우 지난 30년간 선도해온 메모리 분야의 '초격차' 위상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신소재·신구조R&D를 강화하고, 첨단 극자외선(EUV) 기술을 조기 도입하는 등 첨단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파운드리 사업은 GAA(Gate-All-Around) 등 차세대 생산 기술을 적용해 3나노 이하의 제품을 조기에 양산할 계획이다. 또 차세대 패키지 기술 확보로 연산칩과 메모리가 함께 탑재된 융복합 솔루션을 개발, 업계 선두권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삼성은 바이오 분야에서도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해 '제2의 반도체 신화'를 구현하겠다는 목표다. 그동안 삼성의 바이오사업은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과 바이오시밀러(복제약)를 양대 축으로 삼아 성장해왔다. 현재 건설 중인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이 완료되면 CDMO 분야 생산능력은 62만L(리터)로 세계 1위로 도약하게 된다. 이어 5·6 공장 건설에 나서는 등 공격적 투자와 생산기술 역량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로 거듭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삼성은 향후 5년간 신규로 8만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삼성은 향후 3년간 4만명을 채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 최근 반도체 산업 분야 인재육성 필요성이 커지면서 신규 채용 규모를 더 늘렸다. 삼성은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인 반도체와 바이오 등 핵심사업 중심으로 채용 규모를 더욱 확대, 민간에 의한 좋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핵심 인프라 기지는 국내"...3사 시너지 기대
현대자동차와 기아, 현대모비스 등 3사도 오는 2025년까지 4년 동안 국내에 63조원을 투자한다. 국내에 대규모 투자를 집중하면서 현대차그룹의 핵심 인프라 기지가 여전히 국내임을 강조하고 있다.
우선 전동화 및 친환경 사업 고도화를 위해 16조2000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순수전기차와 수소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의 기술 우위를 확보할 계획이다. 국내 순수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와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혼류 생산 시스템 점진적 구축,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라인 증설 등도 점진적으로 추진한다.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는 2025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연간 최대 15만대 규모의 PBV(목적기반차량) 전용공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차세대 전용 플랫폼 확보에도 속도를 내 2025년 승용 전기차 전용 플랫폼 ‘eM’과 PBV 전용 플랫폼 ‘eS’를 선보인다. 전기차 보급의 핵심 기반인 충전 솔루션, 고객 서비스 등 인프라 부문에서는 초고속 충전기 5000기를 구축한다.
3사는 로보틱스,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인공지능(AI) 등 미래 신기술에도 8조900억원을 투자한다. 로보틱스는 차세대 웨어러블 로봇, 서비스 로봇, 모바일 로봇 기술 등의 개발부터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를 위한 실증 사업 등이다.
미래 항공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와 지역 항공 모빌리티(RAM) 기체 개발과 핵심 기술 내재화, 인프라 조성,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등이다. 자율주행 분야는 레벨4 자율주행 달성과 로보택시 상용화에 대비한 도심 실증 사업,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는 PBV와 로보트럭 및 셔틀 등 디바이스 콘셉트 모델 및 실물 개발 등을 추진한다.
나머지 38조원은 내연기관차 상품성과 고객 서비스 향상, 내연기관차 부품사들의 미래차 산업 전환 지원에 쓰인다. 2025년에도 현대차·기아 전체 판매량의 8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내연기관차에서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우선 전동화 및 친환경 사업 고도화를 위해 16조2000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순수전기차와 수소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의 기술 우위를 확보할 계획이다. 국내 순수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와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혼류 생산 시스템 점진적 구축,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라인 증설 등도 점진적으로 추진한다.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는 2025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연간 최대 15만대 규모의 PBV(목적기반차량) 전용공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차세대 전용 플랫폼 확보에도 속도를 내 2025년 승용 전기차 전용 플랫폼 ‘eM’과 PBV 전용 플랫폼 ‘eS’를 선보인다. 전기차 보급의 핵심 기반인 충전 솔루션, 고객 서비스 등 인프라 부문에서는 초고속 충전기 5000기를 구축한다.
3사는 로보틱스,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인공지능(AI) 등 미래 신기술에도 8조900억원을 투자한다. 로보틱스는 차세대 웨어러블 로봇, 서비스 로봇, 모바일 로봇 기술 등의 개발부터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를 위한 실증 사업 등이다.
미래 항공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와 지역 항공 모빌리티(RAM) 기체 개발과 핵심 기술 내재화, 인프라 조성,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등이다. 자율주행 분야는 레벨4 자율주행 달성과 로보택시 상용화에 대비한 도심 실증 사업,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는 PBV와 로보트럭 및 셔틀 등 디바이스 콘셉트 모델 및 실물 개발 등을 추진한다.
나머지 38조원은 내연기관차 상품성과 고객 서비스 향상, 내연기관차 부품사들의 미래차 산업 전환 지원에 쓰인다. 2025년에도 현대차·기아 전체 판매량의 8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내연기관차에서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