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상장사 고용회복 지연···기업 10곳 중 4곳 직원 수 줄어"
2022-05-17 08:51
글로벌 공급망 약화·금리 인상 등 대외적 불확실성 가중으로 고용 회복이 더뎌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에서 다소 회복했음에도 직원을 줄인 기업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2018~2021년 기준 비금융업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1874개의 직원 규모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상장사 10곳 중 4곳(43.1%, 808개사)은 전년도에 비해 직원 수가 줄었다.
직원이 감소한 기업의 비중은 코스닥 시장이 코스피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직원 수가 감소한 기업은 코스피 시장의 경우 조사대상 696개사 중 294개사(42.2%)였고, 코스닥 시장은 조사대상 1178개사 중 514개사(43.6%)였다.
지난 3개년(2019~2021년) 동안 직원이 감소한 상장사 규모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직원이 감소한 상장사 비중은 43.1%(808개사)로 2020년 52%(974개사)보다 166개사 적은 8.9%포인트 줄었다. 2019년 44.3%(830개사)와 비교하면 22개사 적은 1.2%포인트 줄었다.
지난해 직원이 감소한 상장사 규모가 2020년에 비해 줄어든 것은 비대면 업종 호황 등으로 실적이 개선된 영향이라는 게 전경련 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전체 상장사 직원 수를 보면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지난해 148만3000명으로 2020년(146만9000명)보다는 1만4000명 늘었지만, 2019년(149만7000명)보다는 1만4000명 적은 수준이다.
상장사 10곳 중 3곳(26.7%, 500개사)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됐던 2020년 이후 2년(2020~2021년) 연속으로 직원 수가 줄었다. 비중은 코스피 상장사(29%, 202개사)가 코스닥 상장사(25.3%, 298개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연속 직원이 감소한 상장사 500개사의 직원 수는 지난해 기준 43만6000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50만8000명)에 비해 7만2000명 감소한 수준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해 직원 숫자가 2020년 대비 늘어난 것은 코로나19에 따른 충격이 옅어지면서 발생한 기저효과”라며 “인원 감축은 기업 입장에서 최후의 수단인데 500개 상장사가 직원을 2년 연속 줄였다는 것은 그만큼 사정이 어려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상장사 10곳 중 1곳(11.2%, 210개사)은 직원 수뿐만 아니라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동시에 감소하는 등 ‘3중고’에 빠졌다. 그 비중은 코스닥 상장사(12.1%, 143개사)가 코스피 상장사(9.6%, 67개사)보다 높았다.
3중고에 빠진 상장사의 경우 성장성과 수익성이 모두 악화된 경우이기 때문에 자칫 부실로 이어진다면 일자리 시장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전경련 측은 우려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지난해 상장사 총 직원 수가 늘어난 것은 팬데믹 충격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아직 본격적인 고용시장의 훈풍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며 “기업들이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적극적으로 투자와 고용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는 노동·산업 분야 규제 완화, 세제지원 확대 등 정책적 지원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2018~2021년 기준 비금융업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1874개의 직원 규모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상장사 10곳 중 4곳(43.1%, 808개사)은 전년도에 비해 직원 수가 줄었다.
직원이 감소한 기업의 비중은 코스닥 시장이 코스피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직원 수가 감소한 기업은 코스피 시장의 경우 조사대상 696개사 중 294개사(42.2%)였고, 코스닥 시장은 조사대상 1178개사 중 514개사(43.6%)였다.
지난 3개년(2019~2021년) 동안 직원이 감소한 상장사 규모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직원이 감소한 상장사 비중은 43.1%(808개사)로 2020년 52%(974개사)보다 166개사 적은 8.9%포인트 줄었다. 2019년 44.3%(830개사)와 비교하면 22개사 적은 1.2%포인트 줄었다.
지난해 직원이 감소한 상장사 규모가 2020년에 비해 줄어든 것은 비대면 업종 호황 등으로 실적이 개선된 영향이라는 게 전경련 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전체 상장사 직원 수를 보면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지난해 148만3000명으로 2020년(146만9000명)보다는 1만4000명 늘었지만, 2019년(149만7000명)보다는 1만4000명 적은 수준이다.
상장사 10곳 중 3곳(26.7%, 500개사)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됐던 2020년 이후 2년(2020~2021년) 연속으로 직원 수가 줄었다. 비중은 코스피 상장사(29%, 202개사)가 코스닥 상장사(25.3%, 298개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연속 직원이 감소한 상장사 500개사의 직원 수는 지난해 기준 43만6000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50만8000명)에 비해 7만2000명 감소한 수준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해 직원 숫자가 2020년 대비 늘어난 것은 코로나19에 따른 충격이 옅어지면서 발생한 기저효과”라며 “인원 감축은 기업 입장에서 최후의 수단인데 500개 상장사가 직원을 2년 연속 줄였다는 것은 그만큼 사정이 어려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상장사 10곳 중 1곳(11.2%, 210개사)은 직원 수뿐만 아니라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동시에 감소하는 등 ‘3중고’에 빠졌다. 그 비중은 코스닥 상장사(12.1%, 143개사)가 코스피 상장사(9.6%, 67개사)보다 높았다.
3중고에 빠진 상장사의 경우 성장성과 수익성이 모두 악화된 경우이기 때문에 자칫 부실로 이어진다면 일자리 시장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전경련 측은 우려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지난해 상장사 총 직원 수가 늘어난 것은 팬데믹 충격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아직 본격적인 고용시장의 훈풍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며 “기업들이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적극적으로 투자와 고용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는 노동·산업 분야 규제 완화, 세제지원 확대 등 정책적 지원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