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병운 칼럼] "인플레이션과 4차 산업"

2022-05-16 18:00

소병운 스트라이커캐피탈 부회장[사진=본인 제공]


요즘 세계경제의 가장 큰 화두는 인플레이션이다. 인플레이션은 통상 통화량 증가, 총수요 증가 또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발생한다. 

1차 세계대전 후 채무국 독일은 화폐 발행을 통한 경제 회복과 패전국으로서 채무 상환을 시도했다. 이로 인해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초래되고 급기야는 전쟁을 일으키는 한 계기가 되었다.

1970년대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닉슨의 달러의 금태환 중단 선언으로 인한 달러 가치 하락으로 수입 물가 상승을 초래한 데다 1차 중동 오일쇼크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이 밖에도 남미의 반복되는 인플레이션은 재정적자를 충당하기 위해 발행되는 국채를 화폐 발행을 통한 중앙은행의 인수 반복이 원인이 되었다. 

오늘날 인플레이션은 어떤가?  코로나19 창궐로 인한 수요 부족에 대처하기 위한 대규모 유동성 증가가 첫 번째 원인이다. 2020년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코로나19가 확산되자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인 0~0.25%로 낮췄고, 광의 통화(M2)를 크게 늘려 '헬리콥터 머니'를 뿌렸다. 

이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와 곡물 가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염려를 키우고 있다. 통화량 증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동반된 것이다. 

경기 진작 목적, 선거, 전쟁 등으로 통화가 과잉공급되어 나타나는 인플레이션은 다시 유동성을 축소하는 정책을 맞게 된다. 이달 초 미국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리고 통화량을 축소하겠다고 발표했다. 

금융 레버리지(Leverage)의 역사가 'Boom과 Bang'을 반복하듯이 중앙은행의 부채인 통화 증발도 마찬가지 과정을 겪는 것이다. 통화 긴축은 금리 인상과 더불어 경기 침체의 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주목해야 할 점은 기존 시장뿐 아니라 새로 형성되고 있는 시장까지 위축시켜 신산업의 침체를 가져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 대응 정책이 경제 일부분이 아니라 전체에 영향을 미쳐 성장해야 하는 산업까지도 침체 또는 지연을 초래하는 것이다. 

오늘날 4차 산업이 이에 해당한다. 4차 산업이란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가상현실 등과 같은 혁신적 기술을 활용하는 정보, 의료, 교육 등 지식 집약적인 산업을 말한다. 4차 산업은 아직 태동기에 있고 변동성에 취약하다. 따라서 작금의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으로 4차 산업의 발현과 성장이 지연 또는 퇴보할 수 있다.

4차 산업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어서 인플레이션을 감쇄시킬 수 있는데도 말이다. 첫째,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가며 성장한다. 둘째, 생산성과 효율성의 혁신을 넘어 발전의 폭발성과 파괴성이 있다. 셋째, 타 산업과 융합하거나 시너지를 창출해 해당 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기술 혁신으로 생산성이 향상된다면 상품의 공급을 늘릴 수 있고, 상품 가격의 버블을 억제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이 단순한 휴대폰을 넘어서면서 휴대용 컴퓨터, 카메라, 라디오, TV, 시계 등 다른 기능까지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스마트폰 기능은 날이 갈수록 고도화하고 있지만 기술이 향상되는 만큼 가격은 오르지 않는다. 즉, 기술의 발전이 인플레이션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 지구적으로 온난화 등 기후변화 위기에 봉착하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 산업으로의 전환도 요구되고 있다. 4차 산업의 지식 집약적 기술 발전은 친환경으로의 전환을 이끄는 핵심적 수단이기도 하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이 심화될수록 산업에 대한 미시적인 정책을 통해 4차 산업에 대한 지원과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 경쟁력을 확보할 시기를 놓치지 않고 성장 잠재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도 그러하다.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등으로 올 4월 IMF는 한국 경제성장률(2.5%)이 물가상승률(4.0%)을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역성장을 하게 되는 셈이다.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로서는 단기적으로는 수출, 장기적으로는 기술 확보를 통해 성장잠재력을 확보해야 한다. 

M&A 활성화, 세제 지원, 금융기관들의 4차 산업에 대한 포트폴리오 변화 등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오랫동안 자금과 인력이 쏠린 부동산 산업에서 4차 산업 쪽으로 주목의 대상을 옮겨 보는 건 어떨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