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5조 이상 초대형 M&A 늘고 있지만 韓 2016년 이후 1건"
2022-04-17 14:00
17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글로벌 외국인직접투자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2016년 이후 전 세계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감소 추세를 보인다고 밝혔다.
투자할 때 용지를 직접 매입해 사업장을 짓는 방식인 그린필드 FDI에서 EU는 1위를 차지했다. EU가 공급망 재편의 수혜를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세부적으로 2018년 3월부터 가시화한 미·중 갈등에서 EU는 이전 3년 동안 그린필드 FDI 증가율이 47.0%에 달했다. 이어 중국(13.5%), 일본(12.1%), 미국(5.7%) 순으로 증가세가 컸으며, 한국은 32.6% 역성장해 세계 평균 5.6%에 못 미쳤다. 한국 외에도 인도(-28.7%), 아세안(-12.3%)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선진국은 26.2% 증가하는 동안 개도국은 4.5% 감소했다.
이문형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는 “EU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을 통해 공급망 재편과 산업경쟁력 제고를 꾀하고 있다”면서 “최근 인텔이나 SK 투자 사례와 같이 세계 주요 기업이 상대적으로 미·중 갈등에 영향을 덜 받는 EU나 선진국에 투자를 선호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지난 8년(2013~2020년) FDI 수익(유보이익) 재투자 분석에서는 OECD 국가 평균이 2013년 28.8%에서 2020년 43.7%로 증가했다. 반면 한국은 49.0%에서 18.2%로 감소했다. 8년 동안 평균적으로 OECD는 35.0%를 기록했지만, 한국은 24.7%로 낮은 수준이었다.
미·중 갈등 전후 3년 재투자율 평균에서 OECD는 36.5%에서 40.3%로 3.8%포인트(p) 상승을, 한국은 44.8%에서 32.1%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미국은 4.7%p, 독일은 4.4%p 증가했다 반면 캐나다는 5.9%p, 칠레는 4.7%p 줄었다.
대한상의는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의 글로벌 FDI 재투자의 증가 추세에 대해서 이익잉여금을 지분투자, 장기차관 등과 함께 FDI의 형태로 인정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반면 한국의 낮은 재투자율은 2020년 2월 외촉법 개정 전까지 재투자를 FDI 금액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점이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해석이다.
또한 글로벌 투자에서 50억 달러(약 6조원) 이상의 메가 M&A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2011년 전까지 세계 메가 M&A 비중은 29.9%였지만, 2021년 39.7%에 건수는 69건에서 197건으로 2.8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가별로는 미국은 4.2%p, 중국은 28.4%p, 독일은 29.1%p 증가했으며, 한국은 2016년 이후 단 1건밖에 없었다.
글로벌 메가 M&A 증가는 디지털융합 산업 등 4차 산업혁명의 부상과 고비용의 그린필드 투자를 회피하려는 경향이 짙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관련 시장의 성장과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확대로 메가 M&A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성우 대한상의 국제통상본부장은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장기화로 글로벌 FDI 구조가 변화하고 있어 리쇼어링(본국 귀환)을 중심으로 첨단소재 및 부품의 공급망 재편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며 “그린·디지털 뉴딜 정책을 기반으로 한 신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메가 M&A를 위해 국내에 있는 각종 해외펀딩 규제는 과감히 철폐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