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연금저축 가입건수 전년 대비 3배 급증…MZ세대 영향
2022-04-11 12:20
연금저축 총적립금 160조원…90% 이상 펀드 형태
지난해 개인이 가입하는 연금저축 상품의 신규 계약 건수가 두 배 가까이 늘었다. 20~30대인 MZ세대의 가입률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1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연금저축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연금저축의 신규계약 건수는 전년보다 194.4% 늘어난 174만9000건이었다.
이처럼 연금저축 가입건수가 급증한 데에는 20~30대 영향이 컸다. 전체 연금저축 가입자가 전 연령대에서 16.7% 증가했지만, 20대의 경우 70%의 증가율을 보였다. 30대도 전년보다 가입자가 21.9% 늘어났다.
전체 신규계약 가운데 93.4%(163만4000건)는 연금저축 펀드였다. 지난해 연금저축 펀드 가입 건수는 전년보다 249% 증가했다. 반면 연금저축 보험의 신규계약 건수는 11만6000건으로 전년보다 8.3% 줄어들었다.
지난해 연금저축 총적립금은 160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5%(7조6000억원) 증가했다. 상품별로는 보험이 112조원으로 전체 적립금의 69.9%를 차지했다. 펀드 15.2%(24조3000억원), 신탁 10.6%(17조원)가 뒤를 이었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펀드 적립금이 28.8% 늘어 지난해 연금저축 수익률은 4.36%로 집계됐다. 전년(4.18%)보다 0.18%포인트 오른 수치다.
지난해 연금저축 총납입액은 9조9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8%(2000억원) 증가했다. 펀드 납입액은 61.8%(1조1000억원) 늘었지만, 보험과 신탁의 납입액은 각각 13.1%, 6% 감소했다. 계약당 납입액은 262만원으로, 지난해 납입 계약 중 세액공제한도인 400만원보다 적은 납입분이 전체의 80.5%를 차지했다.
연금저축 연금 수령액은 4조원이며, 계약당 수령액은 295만원으로 나타났다. 수령금액별로는 연 500만원 이하가 82.5%, 500만~1200만원의 경우 15.4%, 1200만원 초과가 2.1%로 집계됐다. 수령 형태별로는 확정기간형이 60%, 종신형이 36.4%를 차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 연금 평균 수령액은 300만원 선에서 정체돼 실질적 노후 대비에는 부족하다"며 "세액공제 한도나 비율을 전향적으로 상향해 납입 규모의 자발적 확대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연금저축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연금저축의 신규계약 건수는 전년보다 194.4% 늘어난 174만9000건이었다.
이처럼 연금저축 가입건수가 급증한 데에는 20~30대 영향이 컸다. 전체 연금저축 가입자가 전 연령대에서 16.7% 증가했지만, 20대의 경우 70%의 증가율을 보였다. 30대도 전년보다 가입자가 21.9% 늘어났다.
전체 신규계약 가운데 93.4%(163만4000건)는 연금저축 펀드였다. 지난해 연금저축 펀드 가입 건수는 전년보다 249% 증가했다. 반면 연금저축 보험의 신규계약 건수는 11만6000건으로 전년보다 8.3% 줄어들었다.
지난해 연금저축 총적립금은 160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5%(7조6000억원) 증가했다. 상품별로는 보험이 112조원으로 전체 적립금의 69.9%를 차지했다. 펀드 15.2%(24조3000억원), 신탁 10.6%(17조원)가 뒤를 이었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펀드 적립금이 28.8% 늘어 지난해 연금저축 수익률은 4.36%로 집계됐다. 전년(4.18%)보다 0.18%포인트 오른 수치다.
지난해 연금저축 총납입액은 9조9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8%(2000억원) 증가했다. 펀드 납입액은 61.8%(1조1000억원) 늘었지만, 보험과 신탁의 납입액은 각각 13.1%, 6% 감소했다. 계약당 납입액은 262만원으로, 지난해 납입 계약 중 세액공제한도인 400만원보다 적은 납입분이 전체의 80.5%를 차지했다.
연금저축 연금 수령액은 4조원이며, 계약당 수령액은 295만원으로 나타났다. 수령금액별로는 연 500만원 이하가 82.5%, 500만~1200만원의 경우 15.4%, 1200만원 초과가 2.1%로 집계됐다. 수령 형태별로는 확정기간형이 60%, 종신형이 36.4%를 차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 연금 평균 수령액은 300만원 선에서 정체돼 실질적 노후 대비에는 부족하다"며 "세액공제 한도나 비율을 전향적으로 상향해 납입 규모의 자발적 확대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