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류하는 조선 빅딜] 방향 잃은 대우조선해양 M&A···다음 주자로 포스코·한화·SM 거론
2022-01-13 05:05
EU, 한국조선해양과 결합 반대 가닥
LNG 운반선 사업부 매각 관련 갈등
20일 전후에 '결과' 공식 발표 예정
업계 "유럽시장 중요···합병 어려워"
LNG 운반선 사업부 매각 관련 갈등
20일 전후에 '결과' 공식 발표 예정
업계 "유럽시장 중요···합병 어려워"
글로벌 최상위권 조선사인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을 유럽 경쟁당국이 불승인할 것이라는 전망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양사의 주요 고객이 몰려 있는 유럽 지역이라 더욱 독과점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는 시각이다.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인 유럽 지역에서 불승인 결정이 내려지면 인수합병(M&A) 전체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선업계 일각에서는 유럽 경쟁당국이 불승인이나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리는 즉시 한국조선해양이 아니라 포스코나 한화, SM 등 별도의 대기업 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해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AFP 등 주요 외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EU 경쟁당국이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을 불승인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공식 발표는 오는 20일 전후로 예정돼 있으나 EU 경쟁당국이 이미 결론을 내렸다는 의미다.
조선과 항공 등 여러 국가에서 영업하는 기업은 M&A를 진행할 때 주요국 경쟁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19년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이 공식화된 이후 중국과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등 경쟁당국은 양사의 기업결합을 무조건 승인했다. 아직 승인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우리나라와 일본 경쟁당국은 EU의 결정 이후 결론을 내릴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EU 경쟁당국은 양사가 액화천연가스(LNG)선 건조시장에서 차지하는 합산 점유율이 60%를 넘어가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EU 경쟁당국은 한국조선해양에 대우조선해양의 LNG선 사업부를 매각하는 등 독과점 방지 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조선해양은 대우조선해양의 LNG선 사업부 매각 등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해상 친환경 규제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LNG선 사업부를 매각한다면 핵심이 없는 M&A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이같이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조선업계에서는 M&A 실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조선업계 최고의 고객이 몰린 유럽 지역의 반대를 무릅쓰고 기업결합이 가능한지 의문이라는 시각이다.
실제 EU 등 특정 국가의 경쟁당국이 기업결합을 불허해도 양사가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다면 통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국가의 고객과 사업을 영위하기는 어려워진다.
문제는 EU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한 시장이라는 점이다. 당장 선복량 기준으로 글로벌 최상위 5개 해운사 중 4곳(머스크·MSC·CMA CGM·하팍로이드)이 유럽에 소재해 있다. 이들은 매년 막대한 규모의 선박 건조를 발주하는 조선사의 가장 큰 고객으로 꼽힌다.
실제 공시를 집계해보면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유럽 지역 선주들 측에서 4조7053억원 규모의 선박 건조 계약을 수주했다. 이는 대우조선해양의 지난해 수주 총액인 13조927억원의 35% 이상이다.
인수자인 한국조선해양(자회사 포함)도 지난해 유럽 지역 선주와 4조1648억원 규모의 수주 계약을 맺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수주 총액 19조5982억원의 21.25%에 해당하는 규모다.
양사가 공시하지 않는 수주 계약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수주 계약 규모가 8조8701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사정 때문에 업계에서는 EU 경쟁당국이 불승인 혹은 조건부 승인을 결정한다면 한국조선해양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차라리 현재 M&A가 불발되고 포스코나 한화, SM 등 별도의 대기업 그룹에서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EU에 대규모 해운사가 많기에 조선사 M&A 문제에 유독 까다롭게 심사하는 것 같다"며 "매년 20~35% 수주를 책임지는 유럽 지역 선주를 포기하면서 양사가 무리하게 합병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사실상 M&A에 사형선고가 내려진 것"이라고 말했다.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인 유럽 지역에서 불승인 결정이 내려지면 인수합병(M&A) 전체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선업계 일각에서는 유럽 경쟁당국이 불승인이나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리는 즉시 한국조선해양이 아니라 포스코나 한화, SM 등 별도의 대기업 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해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AFP 등 주요 외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EU 경쟁당국이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을 불승인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공식 발표는 오는 20일 전후로 예정돼 있으나 EU 경쟁당국이 이미 결론을 내렸다는 의미다.
조선과 항공 등 여러 국가에서 영업하는 기업은 M&A를 진행할 때 주요국 경쟁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19년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이 공식화된 이후 중국과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등 경쟁당국은 양사의 기업결합을 무조건 승인했다. 아직 승인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우리나라와 일본 경쟁당국은 EU의 결정 이후 결론을 내릴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EU 경쟁당국은 양사가 액화천연가스(LNG)선 건조시장에서 차지하는 합산 점유율이 60%를 넘어가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EU 경쟁당국은 한국조선해양에 대우조선해양의 LNG선 사업부를 매각하는 등 독과점 방지 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조선해양은 대우조선해양의 LNG선 사업부 매각 등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해상 친환경 규제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LNG선 사업부를 매각한다면 핵심이 없는 M&A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이같이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조선업계에서는 M&A 실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조선업계 최고의 고객이 몰린 유럽 지역의 반대를 무릅쓰고 기업결합이 가능한지 의문이라는 시각이다.
실제 EU 등 특정 국가의 경쟁당국이 기업결합을 불허해도 양사가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다면 통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국가의 고객과 사업을 영위하기는 어려워진다.
문제는 EU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한 시장이라는 점이다. 당장 선복량 기준으로 글로벌 최상위 5개 해운사 중 4곳(머스크·MSC·CMA CGM·하팍로이드)이 유럽에 소재해 있다. 이들은 매년 막대한 규모의 선박 건조를 발주하는 조선사의 가장 큰 고객으로 꼽힌다.
실제 공시를 집계해보면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유럽 지역 선주들 측에서 4조7053억원 규모의 선박 건조 계약을 수주했다. 이는 대우조선해양의 지난해 수주 총액인 13조927억원의 35% 이상이다.
인수자인 한국조선해양(자회사 포함)도 지난해 유럽 지역 선주와 4조1648억원 규모의 수주 계약을 맺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수주 총액 19조5982억원의 21.25%에 해당하는 규모다.
양사가 공시하지 않는 수주 계약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수주 계약 규모가 8조8701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사정 때문에 업계에서는 EU 경쟁당국이 불승인 혹은 조건부 승인을 결정한다면 한국조선해양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차라리 현재 M&A가 불발되고 포스코나 한화, SM 등 별도의 대기업 그룹에서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EU에 대규모 해운사가 많기에 조선사 M&A 문제에 유독 까다롭게 심사하는 것 같다"며 "매년 20~35% 수주를 책임지는 유럽 지역 선주를 포기하면서 양사가 무리하게 합병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사실상 M&A에 사형선고가 내려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