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등 글로벌 물가 오름세에 고공행진 韓물가 타격받나
2021-12-12 15:07
미국 CPI 물가 6.8%↑...40년래 '최악' 인플레
정부, 물가상승률 관리 목표 2%대 설정 검토
정부, 물가상승률 관리 목표 2%대 설정 검토
고삐 풀린 글로벌 물가 상승세에 국내 경제까지 위태롭다.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가 6%를 훌쩍 뛰어넘은 가운데 국내 물가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6.8% 급등했다고 밝혔다. 1982년 6월(7.2%) 이후 39년 5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한 것이다.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치솟았다. 가장 높이 뛰어오른 건 에너지 분야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에너지는 33.3% 급등했고, 이 중 휘발유는 1년 새 58.1%나 폭등했다. 올해 봄부터 물가 상승의 최대 원인이던 중고차는 지난달에도 31.4% 상승했다. 식음료는 6.1%, 주거비는 3.8% 각각 올랐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시행한 대규모 양적완화 정책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부추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함께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맞물린 결과다.
문제는 미국의 치솟는 물가 상승세가 국내 경제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과 함께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만큼 미국의 '역대급' 물가 상승률이 세계 각국의 인플레이션을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9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물가가 1%포인트 상승하면 국내 물가도 0.26%포인트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물가와 국내 소비자물가의 상관계수는 2000~2007년 0.28에서 2010~2021년 0.7로 2배 이상 늘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율과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동조화 현상이 크게 강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이처럼 곳곳에서 물가 적신호가 켜진 가운데 정부는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관리 목표를 연 2%대로 설정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한은이 물가안정 목표를 2.0%로 제시한 2016년 이후 처음으로 그 이상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를 제시할 것으로 관측된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말 발표할 경제정책방향에서 내년 물가 상승률 관리 목표치를 기존 1.4%에서 상당폭 올려 2.0% 이상으로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석유를 비롯한 원자재, 개인 서비스 가격 등이 오르면서 상승세를 탄 물가 상황을 정부가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의미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3월까지 1%대에 머물다가 4월(2.3%), 5월(2.6%), 6월(2.4%), 7월(2.6%), 8월(2.6%), 9월(2.5%) 등으로 6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다. 10월에는 3.2%로 뛰어올랐고, 11월에는 국제유가 상승과 개인 서비스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3.7%까지 치솟았다. 이는 올해 최고치이자 2011년 12월(4.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물가 오름세는 당분간 이어져 내년 초반에도 물가 상승률이 2∼3%대를 넘나들 가능성이 크다. 국제유가 상승세가 최근 들어 한풀 꺾이긴 했지만, 공급망 차질과 서비스 가격 상승세는 여전히 물가 상승을 압박하고 있어서다. 또 다른 변수는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다. 이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더뎌지고 물류 대란까지 벌어지면 치솟는 물가에 기름을 부을 수도 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6.8% 급등했다고 밝혔다. 1982년 6월(7.2%) 이후 39년 5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한 것이다.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치솟았다. 가장 높이 뛰어오른 건 에너지 분야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에너지는 33.3% 급등했고, 이 중 휘발유는 1년 새 58.1%나 폭등했다. 올해 봄부터 물가 상승의 최대 원인이던 중고차는 지난달에도 31.4% 상승했다. 식음료는 6.1%, 주거비는 3.8% 각각 올랐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시행한 대규모 양적완화 정책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부추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함께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맞물린 결과다.
문제는 미국의 치솟는 물가 상승세가 국내 경제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과 함께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만큼 미국의 '역대급' 물가 상승률이 세계 각국의 인플레이션을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9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물가가 1%포인트 상승하면 국내 물가도 0.26%포인트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물가와 국내 소비자물가의 상관계수는 2000~2007년 0.28에서 2010~2021년 0.7로 2배 이상 늘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율과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동조화 현상이 크게 강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이처럼 곳곳에서 물가 적신호가 켜진 가운데 정부는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관리 목표를 연 2%대로 설정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한은이 물가안정 목표를 2.0%로 제시한 2016년 이후 처음으로 그 이상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를 제시할 것으로 관측된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말 발표할 경제정책방향에서 내년 물가 상승률 관리 목표치를 기존 1.4%에서 상당폭 올려 2.0% 이상으로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석유를 비롯한 원자재, 개인 서비스 가격 등이 오르면서 상승세를 탄 물가 상황을 정부가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의미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3월까지 1%대에 머물다가 4월(2.3%), 5월(2.6%), 6월(2.4%), 7월(2.6%), 8월(2.6%), 9월(2.5%) 등으로 6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다. 10월에는 3.2%로 뛰어올랐고, 11월에는 국제유가 상승과 개인 서비스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3.7%까지 치솟았다. 이는 올해 최고치이자 2011년 12월(4.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물가 오름세는 당분간 이어져 내년 초반에도 물가 상승률이 2∼3%대를 넘나들 가능성이 크다. 국제유가 상승세가 최근 들어 한풀 꺾이긴 했지만, 공급망 차질과 서비스 가격 상승세는 여전히 물가 상승을 압박하고 있어서다. 또 다른 변수는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다. 이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더뎌지고 물류 대란까지 벌어지면 치솟는 물가에 기름을 부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