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내년 은행권 순익, NIM 개선에도 1조원 가까이 감소할 것"
2021-11-08 16:26
김영도 실장 "22년 국내은행 순익 16.8조원 전망…대손충당금 확대 여파"
"10.26 가계부채 대책 '대출 억제' 효과 있을 것…금리 상승 등도 영향"
"10.26 가계부채 대책 '대출 억제' 효과 있을 것…금리 상승 등도 영향"
김영도 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1실장은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1년 금융동향과 2022년 전망' 세미나에서 '은행산업 환경변화와 전망'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내년도 국내 은행의 연간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16조80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됐다. 이는 올해(17조9000억원)보다 9000억원 감소한 수치다. 이 기간 국내은행은 대출 증가분과 금리 상승, 우대금리 축소 등으로 순이자마진(NIM)이 올해보다 확대(1.43%→1.46%)돼 총 48조원의 이자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같은 기간 은행권의 영업이익 규모(충당금 전입 전)는 29조4000억원으로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점쳐졌다. 금리 상승 여파로 유가증권 관련 이익은 감소하겠으나 여타 비이자이익 증가로 감소분이 상쇄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내년 비이자이익 규모는 올해와 동일한 6조9000억원 수준으로 제시됐다.
다만 내년 3월 만기연장·상환유예조치가 종료될 경우 그에 따른 영향이 하반기부터 본격화돼 대손비용 규모가 올해보다 2조원가량 증가한 총 8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김 실장은 "내년 3월 코로나19 금융지원이 종료돼 하반기부터 대손비용이 증가할 경우 순익이 소폭 감소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기간 국내은행 대출증가율 전망치는 5.2%로 올해보다 3%포인트 가까이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달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이 증가세를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게 연구원 측 판단이다. 또한 최근 본격화된 금리 상승 기조 역시 가계부채 억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내년도 기업대출 증가율은 5%를 상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실장은 "그동안 코로나19 관련 만기연장과 이자상환유예 등이 기업대출 증가세를 뒷받침해왔다"면서 "향후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대출을 중심으로 기업대출 증가세가 둔화되겠지만 여전히 5%를 상회하는 속도로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도 은행권 주요이슈 및 과제로는 △코로나 출구전략 △가계대출규제 △금융소비자보호 강화 △온라인 플랫폼 확장세 △ESG경영 요구 등이 거론됐다. 특히 한은의 금리 정상화 지속으로 금리상승압력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부동산시장 과열과 가계부채 증가세 지속에 따른 금융불균형 심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코로나19 금융지원의 종료 및 코로나19 이전부터 이어진 신용확장 국면이 자산건전성에 미치는 중장기적 영향을 고려해 경영전략과 건전성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는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뿐 아니라 누적된 가계부채, 여기에 코로나 이전부터 높게 유지된 중기·개인사업자 대출 증가세를 감안하면 높아진 부실 가능성은 국내 은행산업에 중장기적인 위험요인으로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