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3분기 GDP 발표 D-1... 예상 성적표는

2021-10-17 06:00
18일 3분기 GDP 발표... 전력난,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
블룸버그·닛케이 5% 전망....경제 회복 둔화 가속

[사진=로이터]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오는 18일 발표된다. 전문가들은 전력난으로 인한 공장가동 제한, 강력한 부동산 규제 속 헝다를 포함한 부동산 업체들의 파산 위기 등 요인으로 성장률이 크게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3분기 GDP성장률 5.0%...정부 규제·전력난·부동산 리스크 혼재"
중국의 지난 1분기 GDP 성장률은 18.3%로, 분기별 성장률을 집계하기 시작한 1992년 이후 약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직격탄을 맞았던 지난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6.8%로 추락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컸다.

그러나 지난 2분기에는 경제성장률이 큰 폭으로 둔화했다. 2분기 성장률은 7.9%로 1분기 성장률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예견됐던 일이었다. 코로나19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2분기부터 성장률이 하향 조정되는 건 자연스러운 수순으로, 블룸버그와 로이터 등 외신 역시 시장 전망치를 각각 8%, 8.1%로 예상했었다.

3분기는 2분기보다 성장세가 더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둔화 속도도 빠르다. 최근 블룸버그의 전문가들은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을 5%로 내다봤다.

일본 니혼게이자이도 닛케이퀵뉴스와 29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을 5%로 점쳤다. 이는 코로나19 충격 영향이 컸던 지난해 1~3분기를 제외할 경우 1992년 이후 가장 낮은 분기 성장률에 해당한다.

부동산 시장의 악화와 사상 최악 수준인 전력난으로 공장들이 생산을 억제하거나, 중단하면서 최근 몇 개월간 경제 성장 둔화세가 뚜렷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블룸버그는 재정적 위협을 억제하기 위한 중국의 강력한 부동산 시장 규제 정책이 건설경기 침체는 물론 헝다그룹의 유동성 위기까지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부동산 가격을 잡기위해 부동산 관련 대출을 제한하는 등의 강력한 규제책을 펼쳐왔다. 이 영향으로 전통적으로 주택 판매 성수기인 지난 9월에도 중국 상위 100대 부동산 개발 업체들의 총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6% 급감했다.

부동산과 건설 부분이 최근 몇 년 간의 중국 경제성장을 이끌었으며 가계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몰려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부동산 시장 침체가 경기둔화세를 키웠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도 “지난 2018년 기준 주거용 부동산 시장이 GDP의 23%를 차지했을 정도로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며 “따라서 이는 더 광범위한 경제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 전력난으로 인한 산업활동 감소도 3분기 GDP성장률을 둔화시키는 요인이다. 야오웨이 소시에테제네랄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당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감산, 전력 공급 중지 등 지시가 산업활동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했다.

실제 GDP 발표를 앞두고 발표된 경제지표에서도 이런 상황이 드러난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6으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 위축을 의미하는 기준선 50이하의 수치다. 중국 PMI는 지난 3월 51.9로 정점을 찍은 후 6개월 연속 하락 중이다. 특히 기준선 밑으로 떨어진 건 코로나19 충격이 가장 극심했던 작년 2월(35.7) 이후 19개월 만에 처음이다.

크리스티나 주 무디스애널리틱스 이코노미스트도 탄소 배출 줄이기 움직임이 지나치게 공격적이었다며 이로 인해 제조업체와 소매업체들의 공급 가격에 대한 압력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제조업 경기가 급격히 하락하면서 중국의 경제 둔화 압력이 커졌다. 류페이첸 싱가포르 냇웨스트 마켓츠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은 낙관적인 그림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중국 GDP 성장률 추이 [그래픽=트레이딩이코노믹스]

소비, 생산, 투자 지표도 부진 예상... 4분기는 4%대 전망
3분기 GDP 성장률과 같은날 발표되는 소비, 생산, 투자 지표 전망도 어둡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는 9월 산업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전달 증가율(5.3%)보다 0.8%포인트 둔화한 수치다. 1~9월 누적 고정자산투자액도 7.9%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전달 증가율 8.9%에 비해 크게 둔화한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부동산과 기반시설에 대한 지출을 추적하는 고정자산 투자가 9월 매우 취약했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9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해, 전달(2.5%)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9월 중추절(추석) 연휴와,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소비가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이 역시 코로나19 이전 수준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부진한 수준이라고 평가된다.

더 큰 문제는 4분기 성장률이다. 4분기 중국 GDP 성장률에 대한 시장 전망은 10월 기준 4% 초반까지 하향 조정됐다. 중국 경제 성장 부진 우려가 당분간 지속된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다수 글로벌 은행은 올해 중국 연간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지난 8월 모건스탠리는 중국의 올해 GDP 성장률을 당초 예상치인 8.2%에서 7.9%로 낮춰 잡았다.

지난달에는 뱅크오브아메리카가 8.3%에서 8%로, 골드만삭스가 8.2%에서 7.8%로, 노무라가 8.2%에서 7.7%로 성장률 예상치를 하향 조정했다.

이달에도 스탠타드차타드은행과 JP모건이 각각 8.8%와 8.7%였던 전망치를 8.2%, 8.3%로 낮췄다.

그러나 세계은행(WB)은 지난달 28일 당초 8.1%에서 8.5%로 오히려 올렸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미국 성장률을 1%포인트나 내린 반면, 중국은 8.1%에서 8.0%로 감소치가 0.1%포인트에 그쳤다.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6% 이상으로 내 건 바 있기 때문에 3~4분기의 경제 성장 둔화세가 중국 전체 경제에 큰 타격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