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2047년 서울 23개區 소멸 위험단계…2117년엔 강남·광진·관악·마포만 살아남는다

2021-08-20 00:00
감사원, 전국 229개 시군구 소멸위험 정도 분석 발표
소멸위험 지역, 2017년 83개→30년 뒤 모든 시군구
소멸 고위험단계 시군구, 100년 뒤 96.5%인 221개
감사원 "민간기업의 혁신도시 이전 촉진 필요 있다"

 

감사원 [사진=연합뉴스]
 

국내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2047년 서울 23개 구가 소멸 위험단계에 접어들 것이라는 정부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로부터 70년 후인 2117년에는 강남·광진·관악·마포를 제외한 모든 구가 없어질 전망이다.

19일 감사원이 고용정보원에 의뢰해 전국 229개 시군구의 소멸위험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 2017년 기준 36.2%(83개)였던 소멸위험 지역이 30년 후엔 모든 시·군·구로 확대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지수가 0.5 미만인 경우는 소멸 위험단계로, 젊은 여성인구 수가 고령인구 수의 절반 이하인 상황을 가리킨다. 이 경우 극적인 전환 계기가 마련되지 않는 한 인구 재생산 주기를 고려할 때 공동체 인구기반이 붕괴될 수 있다.

특히 소멸위험지수가 0.2 미만인 소멸 고위험단계에 진입하는 시·군·구는 2017년 12곳에서 30년 뒤인 2047년에는 157개(68.6%), 50년 뒤 2067년엔 216개(94.3%), 100년 뒤인 2117년엔 221개(96.5%)로 확대될 것으로 조사됐다. 대부분의 시·군·구가 고령인구 중심사회로 유지되다 장기적으로 초고령인구 중심사회로 진행되는 셈이다.

이 중에서도 대한민국 시민 다섯명 중 한명이 살고 있는 서울의 경우 2047년 종로·성동·중랑·은평·서초·강서·송파 등 23개 구가 소멸 위험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됐다. 50년 뒤인 2067년엔 노원·금천·종로 등 15개 구가 소멸 고위험 단계에 들어갈 전망이다. 100년 후인 2117년에는 강남·광진·관악·마포를 제외한 모든 구가 소멸 고위험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됐다.

지방은 더욱 심각하다. 부산 강서, 광주 광산, 대전 유성, 경기 화성을 뺀 모든 지역이 소멸 고위험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이들 지역이 100년 뒤에도 인구 소멸 위기를 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까닭은 대학과 일자리, 문화생활, 교육, 인맥 등 측면에서 청년층의 선호를 끌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감사원은 "수도권 과밀해소와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공공기관과 관련 있는 민간기업의 혁신도시 이전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며 "이전 공공기관이 수도권 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이 활용될 경우 수도권 과밀해소라는 정책목표와 상충되는 점은 없는지 범정부 차원에서 인구정책과 긴밀히 연계해 심도 있는 국가균형발전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