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IT업계 연봉킹은 94억 엔씨 김택진…이해진·김범수는?

2021-08-17 21:13

[사진=엔씨소프트 누리집 화면]

 
김택진 엔씨소프트 창업자 겸 대표가 올해 상반기 94억4200만원의 보수를 받아 IT업계 '연봉킹'이 됐다.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11억5800만원,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이사회 의장은 7억5000만원을 받았다.

17일 엔씨소프트 공시에 따르면 김택진 대표는 올해 상반기 급여 11억2200만원, 상여 83억1800만원, 기타근로소득 200만원을 포함한 보수 94억4200만원을 받았다.

김 대표의 상반기 급여총액은 올해 1분기에 전년도 연간급여로 책정된 22억원을 균등분할한 액수와 2분기에 올해 연간급여로 책정된 22억8800만원을 균등분할한 액수를 합한 것이다.

상여총액에는 작년 재무목표(역대 최고 매출, 영업이익) 달성도에 대한 성과급 72억6000만원, 리니지2M의 개발·상용화 추진 선도와 모바일게임 매출달성 성과에 따른 특별 장기인센티브 10억5000만원, 작년 코로나19 상황에 최고매출을 달성한 성과로 전임직원에 지급된 특별인센티브 800만원이 포함됐다.

김 대표와 함께 정진수 수석부사장(COO), 윤재수 전 부사장(CFO), 김택헌 수석부사장(CPO), 심승보 부사장(PGO)이 올해 상반기 엔씨소프트의 보수총액 상위 5명에 들었다.

정 수석부사장은 급여 5억1000만원, 상여 15억1200만원, 기타근로소득 800만원을 포함한 20억3000만원을 받았다. 윤 전 부사장은 퇴직소득 15억7200만원을 포함한 17억400만원을 받았다. 김 수석부사장은 급여 5억원과 상여 10억9300만원 등 15억9300만원, 심 부사장은 급여 3억9000만원과 상여 9억3000만원 등 13억2600만원을 받았다.
 

여민수(왼쪽)·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 [사진=카카오 제공]


IT업계 상장사 대표 가운데 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가 42억8100만원을 받아 김택진 대표 다음으로 많은 액수를 기록했다.

카카오 공시에 따르면 조 대표는 올해 기본급 6개월치인 3억7500만원과 상여 39억600만원을 받았다. 상여에는 올해 2월 지급된 작년 단기성과급, 2월 24일 지급된 자사주 상여금, 카카오공동체 주력계열사의 대표로서 취임 후 성장에 기여한 점을 고려해 지급된 일회성 특별상여, 직책수당 등이 포함됐다.

여민수 공동대표는 상반기 기본급 2억5000만원과 상여 21억5000만원 등을 포함한 24억100만원을 받았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사진=카카오)]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이사회 의장은 7억5000만원을 받았다. 올해 기본급 6개월치인 2억5000만원과, 지난해 카카오공동체 시너지창출에 기여한 의장으로서의 리더십 등을 고려해 올해 2월 지급된 단기성과급 5억원이다.

카카오의 배재현 투자부문책임자(81억700만원), 신정환 신사업 담당(64억8000만원), 권승조 전 지적재산부문 책임자(61억9200만원), 정의정 기술부문책임자(42억4800만원) 등 조 대표보다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기준 액수가 많거나 근접한 이들도 있었다. 다만 조 대표 외의 4명은 보수총액의 대부분을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이 차지한 것으로, 급여와 상여 액수만 놓고 보면 조 대표와 여 대표가 훨씬 크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 [사진=네이버]


네이버 공시에 따르면 이해진 GIO는 급여 6억2000만원, 상여 4억7000만원, 기타근로소득 6800만원 등 11억5800만원을 받았다. 이 GIO의 급여는 올해 연봉인 12억4000만원의 6개월치다. 상여 지급액수에는 글로벌 투자업무에 주력해 네이버의 글로벌 경쟁 기반을 마련한 점, 라인·야후 경영통합과 테크핀 사업 진출 등을 통해 네이버의 미래 성장 발판을 마련한 데 기여한 점이 고려됐다.

이 GIO와 함께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21억8000만원, 박상진 CFO가 15억2300만원, 최인혁 사내이사가 15억100만원, 채선주 CCO가 14억1000만원을 받아 네이버 보수총액 상위 5명에 들었다.

한 대표는 15억7000만원의 상여를 받았다. 코로나 상황에서 더욱 중요해진 중소상공인(SME)과 플랫폼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해 회사가 SME와 사회로부터 높은 인정을 받도록 이끌고 '네이버플러스멤버십' 출시로 쇼핑 소비규모 증가와 플랫폼 '록인' 효과를 견인해 회사의 지속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 점 등이 고려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