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전장은 구독경제"... 네이버-카카오 '콘텐츠 구독'서 격돌

2021-06-17 10:39
카카오 콘텐츠 구독 플랫폼 비공개 테스트 돌입
네이버도 유료 구독 '프리미엄콘텐츠' 베타 버전 출시
정기구독에도 눈독... 가전 렌털, 식품 배송 등으로 확대

조수용(왼쪽),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사진=카카오 제공]


연 40조원 규모로 평가받는 ‘구독경제’ 시장을 두고 네이버와 카카오가 맞붙었다. 양사는 뉴스·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구독할 수 있는 플랫폼을 출시한다. 카카오는 앞서 이모티콘과 카카오톡 저장공간 구독 상품을 출시했고, 카카오톡으로 가전, 식품, 생필품 등을 정기 구독하는 플랫폼도 선보였다. 네이버도 웹툰,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 네이버페이포인트 등의 혜택을 담은 멤버십 서비스를 출시했고, 상품 정기 구독 서비스도 내놓겠다고 발표했다.

17일 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지난 15일부터 콘텐츠 구독 플랫폼의 비공개 테스트를 시작했다. 이 플랫폼은 콘텐츠 기업이나 창작자가 뉴스나 영상, 음원 등의 콘텐츠를 편집해 발행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용자는 관심사와 취향에 따라 콘텐츠를 받아볼 수 있다.

이 플랫폼은 여러 콘텐츠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보드’ 형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카카오TV, 브런치, 다음뉴스 같은 카카오 플랫폼 외에도 유튜브, 인스타그램과 연동된다. 무료로 서비스를 시작하다가 광고, 월 이용료 결제 같은 수익 모델이 추가될 전망이다. 카카오는 오는 8월 중에 이를 정식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는 지난 15일 정기 구독 플랫폼 ‘구독온(ON)’을 출시하기도 했다. 카카오톡으로 식품, 가전, 생필품 등 실물 상품뿐 아니라 청소, 세탁 등 무형 서비스까지 구독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카카오는 지난해 11월 카카오톡 채널을 통한 정기 구독 서비스를 처음 시작했다. 서비스 초기에는 △바디프랜드 △위닉스 △위니아에이드(딤채)의 김치냉장고, 안마의자 등 가전 위주의 렌탈 상품을 선보였다. 이후 1인 가구, 반려동물 인구 증가에 따라 펫푸드, 신선식품 등의 상품들이 추가됐다.

구독경제는 카카오가 낙점한 미래 먹거리 사업 중 하나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지난해 10월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창립 10주년 기념 영상에서 10년, 20년 후 인터넷 산업의 변화를 묻는 질문에 “구독경제가 전 세계적으로 규모가 굉장히 확산하고 있는데, 구독 플랫폼의 눈부신 발전이 이를 견인한 것 같다”고 언급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도 지난달 13일 유료 콘텐츠 구독 플랫폼 ‘프리미엄콘텐츠’의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창작자는 이곳에서 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료로 판매할 수 있다. 네이버는 콘텐츠 편집, 결제, 정산 관리, 데이터 분석, 프로모션 운영 등 콘텐츠 판매에 필요한 도구와 데이터를 제공한다. 

네이버도 구독경제에 눈독 들이고 있는 IT기업 중 하나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지난 3월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시장규모는 크지만 온라인 전환은 시작 단계인 생필품, 장보기, 정기구독, 렌탈, 명품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월 4900원을 내면 웹툰, OTT, 쇼핑 시 혜택을 주는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의 제휴 기업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한 대표는 “최근 티빙과의 콘텐츠 제휴를 완료했고, 대한항공과 2월 MOU 체결 이후 마일리지 혜택 연계를 논의 중”이라며 “이번 이마트·신세계 제휴를 통해서는 전국 이마트·신세계 매장에서의 네이버페이 적립과 무료 배송 등 온·오프라인을 통합할 수 있는 혜택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구독 기반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018년 132억 달러(약 14조8500억원)에서 2025년에 4782억 달러(약 528조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성장률이 68%에 달한다.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소비 행태가 바뀌고, 구독 영역의 확대,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큐레이션 기술이 확대되면서 구독경제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더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