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뷰] 제주맥주 상장에 마냥 웃지 못하는 이유

2021-05-25 13:38

이재훈 산업2부 차장[아주경제 DB]


2017년 시장 진입 후 연평균 매출 147.9%씩 성장한 수제맥주 업체가 있다. 25일 주세법 개정 등 규제 완화 기회를 살려 코스닥 입성에 성공한 제주맥주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제주맥주 코스닥시장 신규 상장을 승인했고, 상장예정일은 26일이다.

수제맥주의 불모지였던 편의점 시장을 뚫더니 대형마트까지 단기간에 국내 시장은 물론 전 세계로 유통망을 늘리고 있는 ‘언더독’의 반란이다.

회사를 이끌고 있는 문혁기 대표이사는 잇단 간담회에서 “코스닥 시장 상장을 계기로 연구개발(R&D) 역량을 높이겠다”며 “양조장 설비 및 인력 투자를 바탕으로 국내 4대 맥주회사로 자리잡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문 대표의 최종 목표는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확보한 유통망을 활용해 세계 무대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맥주 기업이 되는 것이다.

제주맥주는 뉴욕 1위 크래프트 맥주사인 브루클린 브루어리사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기술제휴부터 맥주 출시까지 최고 수준의 생산설비를 도입했다는 자신감이다.

제주 감귤 껍질을 첨가한 밀맥주 ‘제주위트에일’을 시작으로 ‘제주펠롱에일’, ‘제주슬라이스’ 등 그야말로 공전의 히트를 쳤다.

물론 제주맥주가 탄탄대로만 걷기는 쉽지 않은 시장 상황이다.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 오비맥주 등이 주름잡고 있는 맥주시장에서 수제맥주는 채 5%도 되지 않는 점유율을 보인다. 그만큼 경쟁구도가 매섭고, 인수·합병(M&A) 등의 변화무쌍함이 부지불식간에 이뤄진다.

국내 수제맥주 업체 핸드앤몰트는 2018년 글로벌 맥주 기업 앤하이저부시 인베브(AB인베브·오비맥주)에 인수됐다. 1세대 수제맥주 업체 카브루도 진주햄에 인수된 이후 꾸준히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다. 교촌치킨은 이달 초 LF그룹 인덜지로부터 ‘문베어브루잉’을 손에 쥐었다.

편의점 시장에선 BGF리테일(CU)이 대한제분·세븐브로이와 컬래버 작품으로 출시한 곰표밀맥주가 승승장구하고 있고, GS25와 오비맥주가 수제맥주 협업을, 이마트24도 프로야구단 SSG랜더스 선수들의 별칭을 딴 최신맥주 생산을 앞두고 있다.

수제맥주 흥행으로 몇몇 업체가 성공한 것은 맞지만 편의점과 대형마트, 식품제조업 등의 사업 확장으로 언제든지 위기를 맞을 수 있다. 결국 질 높은 기술력으로 특별함을 갖추지 못하면 반짝 흥행에 그칠 공산이 크다. 이는 비단 제주맥주에만 해당하는 사안이 아닌, 국내 대다수 소규모 수제맥주 업체가 마주칠 위기다. 

제주맥주는 실적 개선이라는 과제 또한 떠안고 있다. 2015년 법인 설립 이후 단 한 번도 영업이익을 내지 못한 ‘적자기업’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216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94.6%나 증가했으나 44억원의 영업적자와 106억원의 당기순손실이라는 꼬리표가 남는다. 회사는 2015년 창립 이후 6년간 기록한 적자만 260억원이나 된다.

이번 상장도 적자를 내는 등 일반적인 상장 요건을 갖추지 못하더라도 성장 가능성이 있으면 상장 기회를 주는 테슬라 상장이 있어 가능했다.

이른바 ‘부익부’ 수제맥주 뒤에 움츠린 ‘빈익빈’ 수제맥주 업체의 시름도 외면하기 어렵다. 제주맥주 등 편의점과 대형마트 유통망을 갖춘 손꼽히는 수제맥주 외에 90%에 가까운 150여 소형 수제양조장은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악재가 뼈아프다. 

한국수제맥주협회 등 수제맥주 업계가 소형 양조장들에 한해 온라인 판매를 허용해 달라고 호소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들이 자생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존폐 위기를 겪는 사이 흥행질주하는 제주맥주의 행보에 마음 편히 찬사의 박수를 보내지 못하는 현실이다.

자본주의 시장에서 뜨는 별이 있으면, 지는 별도 있는 법이다. 희소가치와 경쟁력이 없으면 도태되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어려움에 처한 수만명의 소규모 수제맥주 업체 종사자들의 상황에 더 마음이 가는 것은 어쩔 도리가 없다.